기고

[강원포럼]수해복구도 전략 필요하다

김경남 강원연구원 선임 연구위원

지난 2일부터 3일까지 태풍 '미탁'이 한반도 동부 해안지역을 휩쓸었다. 그 결과 삼척, 동해, 강릉에서 잠정집계 400억여원 이상의 피해가 발생했다. 피해 유형은 침수부터 토사매몰까지 빗물에 의해 발생되는 거의 모든 유형이 발생됐다.

삼척의 초곡, 신남, 갈남지역은 산지사면 붕괴 후 이동된 토사가 마을의 소하천 상류부 주택을 매몰시키고, 하류부 복개천을 넘어 여러 집으로 밀려들어 주택과 주변 시설에 유실, 매몰, 침수의 피해가 발생했다. 동해시는 주변의 동해역길, 대동로, 항만로에 의해 삼각 오목렌즈 형태의 지형이 돼버린 송정동 10·9·5통의 넓은 면적에서 여러 채의 주택이 침수됐다. 내린 빗물을 바닷가로 배수시킬 배수로의 용량이 작고 그나마도 떠내려온 여러 잡동사니가 문제를 일으킨 것으로 파악된다. 강릉시 경포대는 안현천의 구 유로와 경포천의 합류점 낮은 곳에 위치한 명일상가, 진안상가를 중심으로 약 70여 가구(점포)가 침수됐다. 저지대라 빗물이 집중된 탓도 있지만 빗물이 경포호 하구를 통해 바다로 미처 배수되지 못하자 해당 지역 전체가 물바다가 된 경우다.

이 시점에서 해당 지역 주민들과 행정이 세심히 살펴야 할 것이 있다.

소하천 상류의 산지 붕괴 후 유출된 토사로 매몰된 삼척시 원덕면 소재 각 피해현장은 산지와 소하천을 대상으로 한 수계일관(水系一貫)형 대책과 함께 주민들의 생활, 생업을 고려한 '농산어촌형 수해복구 모델'의 개발과 적용이 시급해 보인다. 이미 유사한 사례가 2006년 인제군 가리산리에 적용된 바 있고, 주민들은 수해를 겪으면서 20년 발전을 앞당겼다고 인식하고 있다.

항만배후지구 조성을 염두에 뒀던 탓에 그간 기반시설 개선이 미진했던 동해시 송정동 일원은 이번 피해복구를 위해 해당 지역에 큰 비용의 복구사업을 전개하는 대신 단계적으로 10·9·5통만이라도 보다 서쪽에 있는 임대아파트와 공가를 활용해서 이주를 실천해야 한다. 동해항 3단계 개발 이후 항만물류 처리용량은 기존 2,700만톤에서 4,300만톤으로 증가된다. 송정동 일원이 항만물류 처리기지가 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경포침수지구는 무엇보다도 이번에 침수피해를 입은 상가 입주자들은 해당 지역이 상습침수지역임을 자각해 미래의 수해방비 차원에서 중론을 모아 재개발과 지반고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002년 '루사' 당시 대통령께서 방문한 피해지가 이곳인데 현재도 똑같은 원인으로 침수피해를 겪고 있는 상황이다.

수해 때마다 다양한 기술적 방재 대안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번의 수해복구는 좀 달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큰 비용을 들여 예방사업과 복구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늘 사각지대는 존재해 왔고, 이번 피해지역 또한 그러한 사례에서 예외가 아닌 듯하다. 피해지역 시·군 행정은 피해집계와 주민민원 응대에 많은 에너지를 쏟고 있음이 분명하다. 새로운 기법, 새로운 대안을 찾기에는 손이 너무 모자라 보인다.

다행히 지역에는 보다 합리적인 복구를 위해 과학적 관찰, 공학적 대안들을 제시할 방재전문가들이 활동하고 있다. 이들에게 좀 더 많은 역할을 맡겨 수해복구의 전략을 짜는 것을 제안한다. 늦지 않게 민·관·산·학·연의 방재전문가들이 초빙돼 피해 실태와 유형을 정리하고 해당 지역의 자연적·사회적 여건에 최적화된 대책을 전개하는 것이 피해를 반복하지 않는 길이라고 생각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