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일반

[강원포럼]지방분권 시대 대학의 역할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임충식 한국폴리텍대학 춘천캠퍼스 교수

지방 분권의 사전적 의미는 '중앙정부의 권한과 재원을 지방정부에 이양해 스스로 지역 문제를 책임지고 해결하는 것'이다. 중앙정부는 모든 국민에게 해당되는 국방, 외교, 의료 등 큰 문제를 담당하고 지방정부는 지역 주민의 요구를 신속하게 해결하는 것으로, 선진국에서는 이미 시행 중인 제도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지방 분권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여야 간 발전적 토론도 있지만 정략적 차원에서 갈등도 만만치 않다. 또한 대학의 현실은 인구절벽에 따른 학령 인구 감소로 지방 대학은 존폐의 기로에 직면해 있다. 혹자는 2020년 이후부터는 벚꽃이 지는 순서대로 지방 대학 존폐 위기가 시작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춘천지역 대학은 이 같은 존폐의 기로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까? 향후 지방 분권이 이뤄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예상하며 지방 분권에 따른 춘천지역 대학의 역할에 대해 조언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 산업에 맞는 학과 개설과 취업지 공동 개발이다. 10여년 사이 춘천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네이버 도시첨단산업단지가 2014년 본격 가동됐으며, 지난 2월 삼성SDS 춘천 데이터센터가 착공돼 내년 6월 완공 예정 중이다. 춘천지역 산업 생태계가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산업으로 변화하고 있는 만큼 관련 산업인 3D프린팅기술, 디지털센서, 드론, VR(가상현실), 스마트 의료기기 등 ICT를 융합한 학과가 개설돼야 한다.

취업지 공동 개발은 관련 기업 유치가 우선이다. 도, 춘천시, 지역 대학 및 유관기관들이 힘을 모아 관내 산업단지, 농공단지 등에 ICT 업체가 쉽게 입주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줘야 할 것이다. 또 입주 업체에 대한 대학의 기술지원이 이뤄진다면 관련 기업 클러스터가 형성되고 자연스럽게 대학 졸업생의 취업과 연계되는 모범적인 선순환 모델이 될 것이다.

둘째, 춘천지역 대학 간 협업 체제 구축이다. 강원대, 한림대, 춘천교대, 한국폴리텍대학, 춘천성심대가 지역 발전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협업의 기틀을 만든다면 지방 분권 시대에 맞는 혁신적인 대학 교육 패러다임이 연출될 것이다. 선행 작업이 필요하다. 우선 각 대학별로 능동적 참여가 가능한 학과부터 타 대학과 기술적 교류·협업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4년제 대학 기계공학과 졸업 예정자가 기계 가공 실기, 3D 기구 설계 등의 능력이 부족해 취업이 어렵다면 앞선 3학년 2학기부터 원하는 실기 교육을 전문적으로 체득할 수 있는 한국폴리텍대학, 2년제 전문대에서 기술을 배우는 것이다. 이 같은 어라운드 시스템이 구축된다면 지역 청년 맞춤형 일자리가 생겨날 것이다.

지역 내 4년제 대학 재학생이 개인별 최대 2학기까지 타 대학 강의를 접할 수 있도록 개방해 4차 산업에 맞는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 이것이 지방 분권 시대에 맞는 대학의 역할이 아닐까 생각한다.

끝으로 대학은 지역과 국민의 영원한 자산이다. 소중한 자산들이 연합해 지역 발전을 목표로 제 역할을 해주길 희망한다.

외부 기고는 본보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