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강릉 포스코 페놀오염, 주민피해 명확히 규명해야

지난해 6월 강릉시 옥계면 포스코 마그네슘 제련공장에서 발생한 환경 오염사고 파장이 일파만파다. 최근 공장 주변에서 농지를 경작해 온 50대 여성의 소변에서 기준치보다 4배나 많은 페놀이 검출됐다는 소식이다. 유출사고 뒤 지하수와 토양 등에서 오염물질이 확인됐지만 인체에서 페놀이 검출된 것은 처음이어서 지역사회의 충격이 크다. 후진국형 사고도 문제지만 관련 기관의 대처가 얼마나 주먹구구식으로 이뤄졌는지 한심하기 짝이 없다.

당시 사고로 공장 주변 3만1,419㎡의 토양과 11만6,659㎡의 지하수가 페놀과 벤젠, 톨루엔 등으로 오염됐다. 유출된 오염물질 양만 294톤에 달했다. 1991년 낙동강 페놀

오염사고 방류량을 훨씬 웃도는 수치다. 페놀은 인체에 흡수되면 신경계와 소화기에 장애를 유발하는 맹독성 물질이다. 하지만 포스코는 사고 직후 강 주변에만 오염 방지 차단벽을 세우고 1년 뒤에야 공장 인근을 두르는 차단벽을 설치했다. 그 사이 오염은 계속됐다. 주민들은 사태의 심각성도 모른 채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된 셈이다.

제련공장이 가동을 시작한 것은 2012년 11월이다. 도가 국내 비철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는 데 중심축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1년도 안 돼 대형 사고가 났다. 마그네슘을 원료로 하는 국내외 기업들을 적극 유치해 비철금속 클러스터로 육성하겠다던 도와 강릉시의 전략에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포스코 측은 지난달 29일 강릉시 주재로 열린 대책회의에서 조속한 시일 내에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제련공장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검사도 하기로 했다. 지역 주민들의 인체 피해에 대한 추가 검사도 약속했다. 업체 측은 오염된 토양은 올 연말부터 2018년까지, 지하수는 2025년까지 정화를 마친다는 계획이다. 무엇보다 주민 피해에 대한 명확한 규명이 우선이다. 관계 기관도 철저한 관리감독 대책과 매뉴얼을 다시 마련해야 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