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수능 영어 절대평가, `풍선효과' 막아야 안착한다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영어가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바뀐다. 등급과 표준점수, 백분위로 표시하던 성적을 등급으로만 표시한다. 현재 중학교 3학년생부터 적용된다. 지나친 학습 부담과 사교육비를 줄이겠다는 것이 교육부의 취지다. 공교육 정상화와 학습 부담 완화를 위한 획기적인 조치라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교육부는 “학생들이 단순히 수능 영어에서 높은 점수를 얻기 위해 과잉학습을 하고, 학교 교육이 쓰기 읽기 위주로 파행된다는 지적에 따라서”라고 도입 이유를 밝혔다. 영어 사교육은 다른 과목에 비해 사교육 기간이 길고 비용도 가장 많다. 도내의 경우 고교생 영어 개인과외 비용은 월 50만 원이 보통이다. 교육부 조사 결과 지난해 추정한 총 사교육비 18조6,000억 원 가운데 영어교육이 6조3,000억 원으로 가장 비중이 컸다. 부모의 월 소득이 100만 원 많으면 자녀의 토익 점수가 21점 더 높게 나온다는 한국개발연구원의 조사 결과도 있다. 초교 3학년부터 고교까지 10년간 영어를 정규과목으로 배우지만 외국인 앞에만 서면 벙어리가 되는 것이 우리 교육의 현주소다. 오로지 수능만을 대비한 문제풀이식 교육이 낳은 병폐다.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능력을 균형 있게 키우는 방향으로 개선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에 발맞춰 교실수업 개선 정책이 요구된다. 수능 영어 절대평가는 3년 뒤 도입되지만 학교는 내년 고교 1학년부터 적용해야 한다. 교육과정 정비와 교사 직무능력 향상의 뒷받침은 필수다.

대학 입시전형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도 필요하다. 상위권 대학이 우수 학생 선발을 위해 영어면접·논술 등을 통해 변별력을 높이면 도입 의미가 퇴색된다. 국어, 수학 등 상대평가를 유지하는 타 과목으로 사교육이 옮겨가는 '풍선효과'도 문제다. 교육부는 부작용 최소화와 도입 취지의 극대화를 위한 후속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