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조직개편 `강원랜드' 폐광지 회생 토대 재인식을

강원랜드가 조직을 대대적으로 개편했다. 지난달 30일 이사회를 열어 기존의 12실 49팀에서 13실 52팀으로 더 세분화했다. 서슬 퍼런 특수부 검사와 국회의원을 역임한 함승희 사장이 취임 2개월 만에 단행한 공기업 CEO(최고경영자)로서의 의지다. 카지노사업도 무한경쟁 시대로 내몰리고 관광산업도 다각화되는 추세다. 강원랜드의 경쟁력, 대처 능력이 관건이어서 주시하게 된다.

강원랜드에 새로운 활력이 절실함은 주지하고 있는 과제다. 처해 있는 상황이 사면초가인 탓이다. 지난해 9개 월간의 대표이사 공백기를 거쳤다. 게다가 태백 오투리조트 긴급 운영자금 기부 결의를 한 전임 이사진들을 법원에 제소한 것을 두고 지역사회가 설립 취지를 망각한 처사라며 비난하고 있다. 물론 정부 지침에 따른 것이지만 소송 당사자인 입장에서는 난감한 문제다. 게다가 정부는 호시탐탐 레저세를 부과할 기회만 엿보고 있다. 이런 형편에 정부는 국내 관광경기 활성화를 위해 올해 외국인 전용 카지노가 포함된 복합리조트 2개소를 추가 설립한다는 방침이다. 우선은 외국인 전용 카지노로 제한되지만 내국인 출입 허용은 시간문제라는 견해가 다분하다.

강원랜드는 폐광지역지원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국내 유일의 내국인 출입 카지노다. 지역 회생을 위한 대체산업의 모체로 만든 사업체다. 그러나 지역 기여도가 늘 기대에 못 미쳐 불만을 사고 있다. 연 매출이 1조 원을 넘어섰지만 도내 폐광지역에 투자되는 재원은 수익금의 10분의 1에 불과하다. 정부가 국세와 각종 기금으로 대부분을 거둬가는 탓이다. 이런 실정이어서 지역 회생도 지지부진해 폐특법 시한을 두 차례나 연장했다. 2025년까지가 시한이다. 강원랜드 자체 비전을 모색하는 것은 물론이고 지역 성장의 젖줄이 돼야 하는 측면에서도 보다 생산적인 경영 시스템은 당연히 취해야 할 사안이다.

강원랜드의 이번 조직개편의 핵심은 사회공헌, 고객만족, 재난대응체제 강화라고 한다. 특히 마케팅실 책임자를 상무급으로 격상하고 신규사업 모색과 수익모델 개발을 위해 미래전략팀을 대표이사 직속으로 배치해 기대를 걸게 한다. 일부 사회공헌사업 이외에 지역경제와 관계하는 프로젝트에조차 직접 투자가 불가능한 실정이어서 강원랜드가 지역사회와 윈윈하는 최선의 방안이라고 여겨진다. 정부는 2018평창동계올림픽 개최에 맞춰 도를 레저스포츠 관광 중심지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이 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조직 운영을 당부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