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강원대, 대대적 구조개혁으로 경쟁력 갖춰야

무엇이 문제인지 근본부터 다시 짚어야

지역거점국립대인 위상 급격히 추락

기술·제도·문화혁신 제대로 해내는지 점검을

강원대가 전국의 지역거점국립대 10곳 중 최하위라고 한다. 강원대는 지난해 지방대 특성화 등 5개 사업에 총 94억 원의 지원을 받았다. 문제는 학생 수 등 비슷한 규모의 충북대(205억 원)와 비교해 절반 이하의 수준이다.

강원대의 경쟁력이 바닥을 기고 있는 셈이다. 지난해 '성적'에 대해 대학 당국자들이 서로 책임을 떠넘기기에 앞서 무엇이 문제인지 근본부터 짚어야 한다. 여기에다 최근에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실시한 2015년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연차평가 기술혁신형 분야에서 '보통' 등급을 받았다. 2013년에는 '우수' 등급을 받았다. 그러나 강원대는 2014년부터 2년 연속 한 단계 낮은 '보통' 등급을 받은 것이다.

이 사안은 강원대 내부의 문제로 다루기 앞서 지역거점국립대로서의 역할과 그에 따른 지역의 자존심 문제로 다뤄져야 한다. 그동안의 지방대 특성화 사업의 준비 경위를 철저히 조사해 대학 당국자들의 느슨한 업무에 기인한 것이었는지 등 모든 문제가 원점에서 다시 논의돼야 한다. 강원대의 경쟁력 추락의 병폐를 고루 드러낸 케이스로 보이기 때문이다. 일이 터지면 근본적인 해결책을 강구하기보다는 당장만 대충 넘기고 보자는 식의 무책임한 자세와 그에 따라 당연히 뒤따르게 돼 있는 얼버무리기식 변명식의 해명으로는 지역사회의 실망감과 상처가 회복될 수 없다.

그래서는 강원대의 발전과 비전이 불과 몇 년 앞을 내다보고 세워지기도 어렵고 강원대와 주민의 간격만 더욱 벌려놓는 결과를 빚을 뿐이다. 강원대는 지역거점국립대로서 강원도와 지역의 얼굴이다. 지역의 대학은 현실적으로 지역의 미래를 전망하는 싱크탱크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그 자체로 지역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하다.

특히 대학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강원도의 사정은 더욱 그렇다. 특히 6월로 예정된 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평가 가집계 결과 발표를 앞두고 하위 등급을 받을 것 같다는 관측은 우리를 더욱 참담하게 한다. 하위 등급을 받을 경우 입학정원 감축 등 대학 구조조정을 위한 대학구조개혁평가는 대학의 존폐 문제로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지역대학의 위기는 지역의 경제와 문화를 위축시키고 수도권 집중만 가속화시킬 뿐이다. 당사자인 강원대는 절박한 위기의식을 갖고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수도권으로의 인재 유출로 지역 거점 도시경제는 황폐화되고, 지역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해야 할 지역의 대표적 국립대학 위상 추락은 도 발전의 위축으로 이어질 것임에 틀림없다. 강원대는 중앙집권-수도권 집중체제라는 현재의 환경과 구조탓만 할 것이 아니라 기존 관행에 안주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자신을 철저히 반성하고 '일신 우일신'의 혁신을 해야 한다. 국가의 예산으로 운영되는 강원대가 먼저 자기 혁신을 하고 대학이 위치한 지역의 혁신을 이끌어 나가야 마땅하다. 그러나 지역거점국립대인 강원대가 각종 평가에서 최하위를 면치 못하고 있는 지금 지역의 기술·제도·문화혁신을 제대로 추동해낼지 의심스럽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