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메르스'로 줄취소한 문화행사 보상 방법 왜 없나

피서객이 몰려들자 지역마다 각종 축제와 이벤트가 동시다발적으로 벌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역 문화예술계는 한숨을 내쉬고 있다. 대부분의 주요 프로그램을 외지 대형 기획사 등에서 독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지역 문화예술계는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피해 보상마저 받지 못하는 상황에 빠져 허탈해하고 있다.

피서 절정기에 접어들자 행사대행 업계가 제철을 만난 표정이다. 사람이 몰리는 곳에서는 으레 이벤트가 열리기 때문이다. 여기에 필요한 장비를 설치하고 공연자 등의 전문인력을 동원해 진행하느라 분주하다. 이렇게 요란한 이면에서 지역 문화예술인들은 냉가슴을 앓고 있다. 화려하지 못한 역량의 한계를 자책하기도 하지만 노골적으로 도외시되는 게 더 분하게 한다. 외지 기획사들이 지역에서 드러내 놓고 법석을 떠는데 이를 바라만 봐야 하는 처지여서다. 화려함을 요구하는 지자체와 스폰서업체 등으로부터 배려받지 못하는 현실이 야속하기만 하다.

더욱 원통하게 하는 것은 정부가 정책적으로 시행하는 메르스 피해 보상금도 받지 못한다는 점이다. 메르스 공포가 도내에도 쓰나미처럼 밀려들어 기껏 준비했던 문화예술 행사가 줄줄이 쓸려갔다. 계절적 테마행사는 아예 취소되는 등 직격탄을 맞았다. 도내에서도 강릉단오제를 비롯해 30여 개 행사가 열리지 못했다. 이로 인한 손실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직원들 급여 주기도 어려운 형편이라고 한다. 어쩌다 공연을 강행한 단체 역시 예매 취소와 단체관람 취소 등으로 막대한 손해를 입었다. 그럼에도 피해 보상을 받을 길이 없어 난감해 하는 것이다.

정부는 경기회복을 위해 내수 활성화에 갖가지 정책 수단을 동원하고 있다. 국내 여행을 강권하다시피 하고 있다. 문화예술 분야에도 추경예산이 투입된다. 그러나 문화예술계에서는 '구색 맞추기'라는 볼멘소리가 횡행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집행하는 3,000억 원의 추경예산 대부분이 관광업계 지원용 융자자금이고, 문화예술계에 배정된 규모는 지극히 미미한 탓이다. 내수 활성화라는 취지가 무색하게 된 것은 고사하고 되레 불만만 불러일으키고 있다. 지원예산 성격상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정책 시행 실적을 갖추기 편한 분야에 집중적으로 배정한 것이라고 해석된다. 정책 기획자들의 안일한 자세이자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다. 민생현장, 휴가·여행지에 신명과 감동을 심어주는 데 초점이 맞춰져야 할 일이다. 문화예술 분야 피해 보상방안 강구를 재삼 촉구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