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한·중·일 `평창 선언', 관광·물류 활성화 계기 돼야

'동북아 올림픽 로드'의 중심축 돼야 마땅

현장 활동 원활해지게 하는 후속조치 시급

국회 '평창특위' 전원 합의한 정부 지원 기대

2018평창동계올림픽 성공 개최를 위한 국내외 여건 조성이 탄력을 받는 모습이다. 지난 23일 평창 알펜시아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1회 한·중·일 스포츠장관회의에서 스포츠를 통해 동아시아의 평화 정착에 앞장서겠다는 내용을 6개항으로 명시한 '평창선언문'이 나왔다. 그런가 하면 이날 국회 평창동계올림픽 및 국제경기대회지원 특별위원회(이하 평창특위)도 전체회의를 열어 정부에 재정 지원을 촉구하는 결의문을 전원 합의로 의결했다. 개막을 500여일 앞둔 시점이고 곳곳에서 우려스러운 사안이 불거지는 형국이어서 정부의 적극적인 조치가 요구된다.

미국의 보스턴과 이탈리아 로마가 2024년 하계올림픽 유치를 철회한 것에서 보듯 성공 개최가 쉽지 않다. 그나마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2020년 도쿄하계올림픽, 2022년 베이징동계올림픽대회가 연이어 개최되는 것이어서 연계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이른바 '동북아 올림픽 릴레이'를 어떻게 활용하느냐다. 이는 지난해 11월1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6차 한중일 정상회담에서도 논의된 사안이다. 당시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일본 총리, 리커창 중국 총리가 연이어 개최하는 '올림픽'을 매개로 3국 간 교류를 강화해 나가자고 선언한 바 있다.

이번 한·중·일 스포츠장관회의는 상호 협력을 구체화하는 실무 차원의 첫걸음이었다. 스포츠, 올림픽을 통해 상대를 이해하는 폭을 확대하고 세 나라가 미래 지향적인 교류·협력을 정착해 나간다는 것이 원칙이다. 관련 전문가포럼도 함께 열어 경험 공유와 공동 붐 조성 방안을 모색한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강원도가 제안한 '올림픽 로드' 구축이 정부에서 추진돼 탄력을 더하게 된 것도 고무적이다. 문제는 정부 간의 협력이 현장에서 실질 효과를 내는 것이다. 3국 간의 관광 연계는 물론이고 물류 교류도 원활해지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평창올림픽이 눈앞에 다가온 만큼 현장활동이 이뤄질 수 있는 후속조치가 나와야 할 일이다.

국회 평창특위의 정부지원 촉구는 절박하기 때문이다. 이는 '올림픽 지원 특별법'이 허술하게 제정된 데서 비롯됐다. 정부는 물론이거니와 국회 역시 법안 심의를 치밀하게 하지 않은 탓이다. 조직위원회와 강원도, 강릉·평창·정선 등 개최지역에서 5,000억원의 추가 예산 지원을 정부에 요구하는 상황으로 내몰렸다. 물론 흥청망청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올림픽 유산을 창출해 내야 하는 과제가 주어져 있다. 예산 아끼려다 기본적으로 투입하는 재원의 생산효과마저 산출되지 못하는 우를 범해서야 되겠는가. 더구나 평창은 '한중일 올림픽 로드'의 중심지가 돼야 할 곳이다. 올림픽 로드를 구축하는 목적이다. 일본과 중국이 평창을 거쳐 가는 중간기착지로 여기는 상황이 초래되면 그야말로 '남 좋은 일'만 하는 꼴이다. 국회 평창특위 위원들이 전원 합의한 뜻을 받드는 정부의 조치를 당부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