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총선
총선
총선
총선

사설

[사설]혁신도시, 지역과 상생 강원도 발전 견인차 돼야

국립공원관리공단이 24일 신청사로 첫 출근을 하면서 원주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이 사실상 마무리됐다. 37만여㎡ 부지에 13개 공공기관이 모두 입주했다. 2007년 1월 공포된 '혁신도시 특별법'으로 이전이 시작된 지 10년4개월 만이다. 혁신도시는 공공기관의 이전을 계기로 지역의 성장 거점지역에 조성되는 미래형 도시를 뜻한다. 이전된 공공기관과 지역 대학 연구소 산업체 지자체가 협력하는 클러스트 형태의 도시다. 이전이 끝난 만큼 이전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힘을 모아 지역 발전과 상생의 기틀을 마련해 나가기를 기대한다.

혁신도시는 전국 11개 광역시·도 10곳에 건설됐다. 국토연구원은 151개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이 완료될 경우 13만3,0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되고 지역인재 유출 방지, 지방대학 활성화, 수도권 인구과밀 억제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아직까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공공기관 임직원 대부분이 '나 홀로' 이주했기 때문이다. 혁신도시 공공기관 임직원이 가족과 함께 둥지를 틀지 않고, 협력업체마저 지방 이전을 외면하면 수도권 과밀 억제나 지역 일자리 창출 및 성장 잠재력 확충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지역 균형발전 등 혁신도시 조성 효과도 반감될 수밖에 없다.

지난해 국회예산정책처의 평가 결과 원주 혁신도시 조성 성과는 전국 하위권이었다. 이제 이전이 끝난 만큼 걸림돌은 무엇인지 짚어보고 서둘러 해결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 지금부터는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파급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함께 강구해야 한다. 우선은 지자체가 앞장서 혁신도시의 교육환경과 정주여건을 개선하는 게 급선무다.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들도 임직원의 가족 이주와 협력업체 이전을 독려할 필요가 있다. 인력 채용 때 지방대 출신 우대나 지역인재 할당제 등을 통해 지역 고용 창출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

공공기관들은 이전 당시 지역공동체의 일원이 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현실은 지역공동체의 한 축으로 흡수되고 있다고 판단하기 어렵다. 가장 큰 문제는 이들 공공기관이 갖고 있는 정체성이다. 정부 정책에 의해 어쩔 수 없이 본사 건물만 원주에 두고 과거 서울에 있을 때처럼 원주를, 강원도를 그저 지역으로 간주하고 있는 건 아닌지 되돌아봐야 한다. 만약 '사옥은 옮겨 왔으나 지역기관은 아니다'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면 지역공동체의 일원이 되는 것은 요원할 수밖에 없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