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양양공항 노선 다변화, 정부 지원 있어야 한다

중국의 한국 방문 금지 조치와 전세기 불허 등이 반년이 넘도록 이어지면서 양양국제공항과 강원경제가 직격탄을 맞고 있다. 한국은행 강원본부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한국 단체관광을 금지하면서 양양공항은 올 3월 이후 중국노선 운항이 전무했다. 또 도내 주요 관광지의 외국인 입장객 수는 전년 대비 21.6%(12만2,573명) 감소했다. 한은은 중국 관광객의 지출 감소액은 400억원 안팎, 숙박·음식업, 도소매업 등 서비스업의 생산 감소 규모를 500억원으로 추정했다.

중국발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후폭풍에 따른 이 같은 현상이 우려되는 것은 사실이다.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합의로 분위기가 다소 누그러졌다고는 하지만 언제까지 중국만 바라보고 있을 수는 없다. 일본의 경우 2012년 센카쿠 열도를 국유화하자 중국이 곧바로 관광 보복 조치에 나섰다. 타이완의 차이잉원 총통이 당선됐을 때도 그랬다. 일본과 타이완은 이에 맞서 단체관광객 대신 개별 여행 관광객을 끌어모으고, 동남아 신규시장 개척 등을 통해 오히려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았다. 이를 교훈 삼아 우리도 새로운 활로 모색에 나서야 한다.

양양공항도 기존 중국 전세기 운항에 기대고 있을 수만은 없다. 그나마 도가 국제노선 확보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어 다행이다. 러시아와 일본, 베트남, 대만, 태국 등으로 항공기 운항이 확대되고 있다. 2002년 개항한 양양공항은 동해안 최북단의 국제공항으로 그 잠재력이 크다. 내년 평창올림픽은 양양공항이 동북아 허브 공항으로 도약하는 발판이 될 전망이다. 물론 지방자치단체의 힘만으로는 어렵다. 정부의 적극적인 도움이 필요한 이유다. 양양공항 활성화 전략이 결코 흔들리지 않도록 제도적 지원이 절실하다.

중국에 대한 과도한 의존은 위험할 뿐만 아니라 경제 예속화를 가중시킨다. 따라서 중국의 보복 조치에 의연하게 대처해 나가야 한다. 다시는 이 같은 사태를 겪지 않도록 다양한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내적 준비가 중요하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초체력도 길러야 한다.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민관이 힘을 합쳐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중국의 사드 보복이 강원경제의 대중 의존도를 낮추는 계기가 된다면 이는 보약이다. 정부와도 머리를 맞대야 한다. 지역경제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서둘러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