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확대경]노인의 삶, 우리 사회의 과제

이덕수 한림대 금융재무학과 객원교수

우리나라는 지난해에 GDP 세계 10위, 수출 세계 7위를 기록했다. 당연히 나쁘지 않다. 조금 크게 보면 우리 모두 피땀 흘려 산업화에 성공한 결과가 잘 이어지고 있는 것이며, 최근에는 일본과의 국가경쟁력 격차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위안을 더하기도 한다.

그러나 거시지표와 국민들의 삶의 수준이 전혀 별개라는 데 문제가 있다. 그 중에서도 심각한 것은 우리나라 노인들의 삶의 실태다. 지표 중에 ‘빈곤율’이라는 것이 있다. 여기서 ‘빈곤’이라는 것은 소득이 중위소득의 절반 이하에 해당된다는 것이니 사실은 무지하게 가난한 것인데, 우리 사회 전체 빈곤율이 14%인 데 비해 우리나라 노인빈곤율이 50% 정도로 나타난다. OECD 전체 평균은 노인빈곤율은 14%, 사회 전체는 12%정도 된다.

주머니에 가진 게 없으면 선뜻 친구 만나기도 쉽지 않고, 밥 한 끼 사기는 더욱 힘든 게 사실이다. 누구나 위축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 결과가 OECD 국가 중 우리나라 노인자살률 1위로 이어진다. 지역별로 보면 강원도는 더 열악해서 전국 17개 시·도 중 2위를 보여주고 있다. 혹자는 이 원인을 빈곤이 아니라 관계성의 부족에 있다고 설명하는데, 관계성이 약한 이유가 바로 빈곤 때문 아니겠는가.

은퇴가 좋은 이유는 자유, 시간이 있고, 또 그 때문에 평소 하고 싶었던 것들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른바 자기결정권을 가지고 꿈꾸던 자신의 인생을 사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와 같은 상태에서는 은퇴자들이 자신의 삶을 찾겠다고 나서기 어려울 것이다. 더욱이 지금 은퇴하는 베이비부머나 그 선배들 대부분 수출, 경제 대국인 우리나라의 오늘을 있게 한 산업화의 역군들이다. 사회와 자녀를 위해 한 몸 불태운 그들이라는 것을 아무도 부정할 수 없다. 우리 국민과 사회가 은퇴자, 노인의 문제를 우리 사회의 문제화하고 해결을 위해 공론을 모아야 한다. 그래야 건강한 사회다. 그러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

첫째 제대로 된 인식이 있어야 한다. 수출, 국부, 재정, 재정건전성의 목적은 무엇일까. 국민이다. 동시에 국가의 목적이기도 하다. 멋진 삶은 고사하고 버닝아웃 후에 위기로 내몰린 이 땅의 은퇴자, 노인들을 구해야 한다는 너와 나의 인식이 필요하다.

둘째 제도를 고쳐야 한다. 이렇게 노인들이 가난한 이유는 그들의 나태에 있는 것이 아니라 연금제도, 재정 운용 등 국가경제시스템의 모순에 있다. 어느 사회, 어느 나라나 은퇴자의 주소득은 연금소득일 수밖에 없다. 제도의 목적은 국민의 건강한 삶에 있어야 한다. 국민연금제도, 퇴직연금제도, 노인복지제도, 다 본래의 뜻에 맞게 고쳐야 한다.

셋째 은퇴자의 삶의 중심은 자유여야 한다는 또 다른 인식이 필요하다. 모처럼 자신과 가족을 위해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얻어 앞만 보고 달려왔는데, 또 그렇게 빡빡한 인생을 살았기에 이 땅의 산업화가 가능했던 것인데, 그들이 은퇴 후에 자의 혹은 타의에 의해 다시 일터를 찾아 나서야만 한다는 데는 문제가 있다. 목적이 분명해야 은퇴자, 노인들의 삶 뿐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의 모습이 좋아질 수 있을 것이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