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확대경]빠르게 변하는 산업 흐름 공공 직업훈련 확대 시급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박광용 (재)강원도일자리재단대표이사

‘극초음속’이라는 단어가 낯익은 시대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라는 옛말이 정말 무색한 시대란 것이다. 정치, 경제, 사회, 산업 등 모든 분야에 걸친 변화의 흐름에 숨이 가쁘다. 우리는 일 년, 한 달, 아니 매 순간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시각각 변화하는 세상에서 일자리 문제는 어떻게 풀어 가야 할까?

최근 ‘반도체 인력 양성’이 대학, 교육계 그리고 수도권과 지방간 화두다. 산업 변화에 따른 맞춤형 인재 양성의 대표적인 케이스이기 때문일 것이다. 맞춤형 인재는 일자리 미스매치를 최소화하고 기업 성장의 교두보를 마련하기 위한 당면 과제다.

하지만 이런 인재 양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직업훈련 시장이 처한 현실 여건은 상당한 갭이 있다. 특히 강원도의 경우 더욱 힘겨운 상황에 놓여 있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직업능력심사평가원의 ‘22년도 직업능력개발훈련 통합심사 훈련과정 승인현황’자료를 통해 강원지역의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국가직무능력표준) 기준 직종별, 지역별 훈련공급 현황 및 규모를 엿볼 수 있다. NCS 직종별 구분을 통한 훈련은 전체 24개(대분류) 직종 중 17개 직종(경영·회계·사무, 전기·전자 등)에 453개 과정이 공급되고 있다. 또 도내 18개 시·군 가운데 10개 기초자치단체에서 직업훈련이 진행되고는 있지만 이마저도 춘천, 원주, 강릉 3개 권역에서 전체 훈련 과정의 86.9%가 공급되고 있다. 전국 단위로 봐도 4,353개 직업훈련인증 기관 중 강원지역에 소재한 훈련기관은 2.2%인 97개에 불과하다.

그렇다면 대안은 무엇일까? 직업훈련 시장의 구조를 살펴보면, 해결책을 찾기 쉽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직업훈련의 특성상 양질의 교육훈련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그에 걸맞는 훈련 시설과 장비가 필요하다. 하지만 급변하는 산업의 변화에 따라 고비용이 투자돼야 하는 인프라를 시기에 맞춰 구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민간에서 잘 해내고 있는 훈련공급 직종을 제외한 산업 변화 및 지역 주요 산업의 인력양성 요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공공분야가 나서야 한다. 고숙련, 신산업 등의 훈련과정은 시설·장비와 같은 인프라 구축 투자를 통해 공공분야에서 지원하는 방향으로 탈바꿈해야 한다는 것이다.

더불어 일자리 창출, 실업문제 등의 돌파구를 찾기 위해서는 맞춤형 인력양성, 구인 구직 매칭 서비스 등 고용지원사업들이 한데 어우러져 기업 컨설팅부터 맞춤형 서비스까지 원스톱으로 구현돼야 한다. 이런 일자리 종합서비스 지원체계가 구축돼야 다양한 일자리 지원사업의 선택과 집중이 가능하고 사업 간 시너지 효과도 증폭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새로운 강원도! 특별자치시대!’를 맞아 일자리 종합서비스 기관을 활용한 공공 직업훈련의 확대를 통해 지역 내 인재 양성의 활성화를 기대해 본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