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춘추칼럼]반(反)의 경고

박재희 석천학당 원장

기록적인 집중호우에 도시는 마비되고, 농촌은 큰 상처를 입었다. 침수된 차량이나 무너진 건물은 다시 고치고 지으면 되지만 안타까운 인명 피해는 영원히 돌이킬 수 없는 슬픔으로 남는다. 이번 폭우로 반지하에 거주하던 세 식구가 들어찬 물의 수압으로 문을 열지 못하고 하늘나라로 갔다는 소식은 그 어떤 폭우 피해 소식보다 마음을 찢어 놓는다. “하늘은 과연 있는가?” 역사가 사마천의 질문이 다시 떠오른다. 하늘이 있다면 평생 나쁜 짓만 하며 살았던 도척 같은 도둑의 괴수는 왜 천수를 누리며 잘살다 가게 하고, 백이와 숙제 같은 의로운 사람은 수양산에서 굶어 죽게 만드는가를 질문한 사마천의 심정에 동감하는 요즘이다.

재해는 미리 예방할 수 없는 것인가? 초윤장산(礎潤張傘), 밖에 나가기 전 주춧돌(礎)에 습기(潤)가 젖어 있으면 비가 내릴 징조이니 미리 우산(傘)을 준비(張)하라는 뜻이다. 어떤 일이 벌어지기 전에 반드시 작은 조짐들이 있기 마련이다. 1:29:300의 하인리히 법칙은 어떤 큰일이 1번 벌어지기 전에 29번의 중간급의 사건이 터지고, 그 전에 300번의 작은 일들이 벌어진다는 것이다. 세상에 갑자기 찾아오는 재앙은 없고, 졸지에 다가오는 행복도 없다. 일이 커지기 전에 미리 서둘러 해결했으면 큰일이 아니었는데 무시하고 방관하다가 결국 큰일로 번져 해결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 그래서 세상을 지혜롭게 사는 분들은 조그만 조짐과 징조에 주목하라고 말한다. 세상에 어떤 큰일이든 작은 일에서 시작되고, 풀기 어려운 문제도 결국 쉬운 문제를 방치하는 데서부터 발단이 된다.

노자는 이것을 반(反)의 법칙이라고 말한다. 어떤 큰일이 일어나기 전에 작은 일들이 반복되다가, 어느 순간 거꾸로(反) 뒤집힌다는 것이다. 쉽다(易)고 생각하여 방치했던 일이 뒤집혀 풀기 힘든 어려운(難事) 일이 되고, 작다(細)고 무시했던 것이, 어느 순간 뒤집혀 해결할 수 없는 큰일(大事)로 번진다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어렵고 큰일이 닥치기 전에 문제를 해결하면 한결 수월하다는 것이다. 노자의 반의 법칙은 권력의 몰락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권력이 무너지기 전에 작은 징조들이 반드시 있다는 것이다. 그러니 아직 크지 않았을 때, 아직 어려운 상황이 아닐 때 빨리 손을 써서 미리 해결하는 것이 지혜로운 사람들의 위기경영 능력이라는 것이다. 천 길 높은 둑이 갑자기 무너지는 것은 개미나 땅강아지가 만든 구멍으로 인해 무너지게 된 것이고, 백 척 높이의 으리으리한 집이 한순간 잿더미로 변하는 것은 아궁이 틈에서 나온 조그만 불씨 때문이라는 한비자(韓非子)의 이야기도 같은 맥락에서 말하고 있다. 아직 문제가 크지 않을 때, 쉽게 해결할 수 있을 때, 미리 예방하고 해결한다면 나중에 큰일을 당하지 않는다. 주역(周易)의 변화원리도 노자의 반(反)의 법칙과 유사하다. 겨울철 단단한 얼음(堅氷)은 가을날 서리가 뭉쳐(履霜) 만들어지는 것이니, 가을에 추운 겨울을 대비해야 한다. 가을 서리를 무시하고 넘어갔다간 결국 추운 겨울에 피할 수 없는 얼음의 재앙을 만날 것이다.

안타까운 세 식구가 살던 곳을 누추한 곳이라고 표현하는 사람, 그곳을 방문한 사진을 홍보용이라고 내놓은 관계자들, 폭우가 내릴 때 먹방 사진을 올린 사람, 한때 동지였던 사람이 등을 돌리고 밥그릇 싸움하는 상황은 모두 차가운 겨울이 오기 전에 벌어지는 작은 조짐들이다. 경계하고 또 경계하여 미리 예방하지 않으면 어느 날 거꾸로(反) 무너지는 상황이 다가올 것이다. “천하의 어려운 문제는 작은 문제를 방치해서 벌어지는 것이다(天下難事 必作於易, 천하난사 필작어이)!” 노자의 반(反)의 경고에 귀 기울이면 아직은 기회가 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