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백억원의 세수 확보가 가능한 데이터센터(DC) 유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도와 18개 시·군, 한국전력공사 강원본부 등은 최근 도청에서 데이터센터 유치를 위한 전략회의를 갖고 강원지역이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저렴한 전기요금, 재난 안전, 확장성 등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적극적인 유치 노력을 기울여 나가기로 했다. ‘데이터센터’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디지털 산업의 핵심이다. 건전 재정 확보를 위해 도와 18개 시·군이 발 벗고 나서는 것은 당연하다. 실제 춘천은 현재 강원지역에서 유일하게 민간 데이터센터(3곳)를 유치, 연간 100억원에 가까운 세수 효과를 보고 있다. 40㎿급으로 강원지역에서 가장 규모가 큰 네이버 춘천 각 데이터센터는 매년 86억원의 지방세를 춘천시에 내고 있고, 더존비즈온 춘천 D-클라우드센터는 매년 10억원의 지방세수를 납부 중이다.
데이터센터 유치에 성공하자면 우선 정부의 정책 방향을 잘 읽어야 한다. 지난 9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는 관계부처와 지자체가 합동 태스크포스(TF)를 구성, 지방 입지 희망 데이터센터 기업을 발굴·지원하기로 했다. 어떤 데이터센터가 지역으로 오려고 하는지부터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는 것은 기본이다. 이들 데이터센터에 지역 차원에서 지원 가능한 것도 갖춰야 한다. 게다가 데이터센터는 지역에 엄청난 유치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자치단체 간 교통정리가 필요하다. 전국의 자치단체와 경쟁할 수밖에 없기에 더욱 그렇다. 여기에다 유치 경쟁이 치열해지면 정치권까지 가세해 ‘지역 간 힘겨루기’ 양상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도내 자치단체들 간 지역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선에서 ‘후보지’를 정해 지역 정치권과 공조가 이뤄져야 한다. 그리고 ‘원팀’을 만들어야 하는 것이 또 하나의 과제다. 그동안 강원도와 도내 시·군들은 국립한국문학관과 국립현대미술관, 방사광가속기 등을 서울과 충북 청주 등지에 뺏기며 국책사업 공모에서 줄줄이 탈락의 고배를 마신 쓰라린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도내 자치단체들이 그간 국책사업 유치전에 끊임없이 나서는 것은 지역을 발전시킬 수 있는 몇 안 되는 선택지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데이터센터 최종 유치를 위해선 치밀한 전략을 세워야 한다. 강원도가 지니고 있는 장점을 논리적으로 잘 부각시켜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데이터센터는 막대한 전력 공급이 필수다. 현재 147개 중 87개(59%)가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전력 공급에 차질이 예상된다는 것은 강원도로서는 데이터센터 유치에 기회다. 강원도가 데이터센터 입지의 최고 적지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강원도는 에너지 수급률이 100%를 넘는다. 도가 이를 적극 어필하기로 한 것은 시의적절하다. 강원도가 데이터센터 유치에 중심을 잡아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