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총선
총선
총선
총선

사설

[사설]지역 발전, 대학과 지자체 상생 협력에서 찾아야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 탈락
도내 6개 대학 ‘글로컬대학'' 신청 못 해”
대학-지자체, 역할·소임 재인식해야 할 때

인구의 감소는 대학과 지방자치단체의 위기로 직결된다. 상생할 수 있는 지혜로운 해법을 모색할 시점이다. 더욱이 교육부가 지방대학 육성을 위해 한 대학에 1,000억원을 투입하는 ‘글로컬대학’ 사업에 강원도 내 6개 대학은 자격 미달로 신청조차 하지 못할 것으로 보이기에 더욱 그렇다. ‘글로컬대학’은 지역의 산업과 성장의 중심이 되는 세계적 대학을 의미한다. 2021년 대학기본역량 진단 결과 일반재정지원 미지원 대학, 정부 재정지원제한대학에 지정된 대학은 이에 지원할 수 없다.

도내에서는 가톨릭관동대와 상지대, 4개 전문대 등 6개 대학이 해당된다. 나머지 도내 대학들은 대학 단독으로 구조를 대폭 개편하는 혁신 방안을 제시하거나 ‘1도 1국립대’ 형식의 과감한 혁신안 등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글로컬대학 선정에 유리하게 작용할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라이즈) 시범사업에 강원도가 탈락, 불이익에 대한 우려도 높다. 우리는 이런 위기 상황을 보면서 대학과 지자체의 역할과 소임을 재조명해야 한다고 본다.

대학은 그 지역에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유형·무형의 기여를 하고 있다.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문화 창달은 그 한 예다. 지식과 정보가 넘치는 지식정보화사회, 지속적으로 배우지 않으면 안 되는 평생학습사회, 모든 경계가 물리적·화학적 차원에서 무너져 내리고 합쳐지는 융·복합 시대 속에서 원리와 체계를 세워주고 있다. 유형과 무형의 세계, 미시와 거시의 세계를 이어주는 철학과 비전을 끊임없이 제공해 주고 이끌어 주는 것은 아무래도 대학일 수밖에 없다. 이 점에서 보더라도 지역의 대학은 또 다른 차원에서 그 역할과 소임이 막중해졌다고 할 수 있다. 지자체는 특히 인문학및 순수예술과 같은 영역을 전공한 대학 졸업생들이 그 지역에 상주, 지역사회가 그들이 터득한 지식과 기술, 능력을 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식 생산 연계망을 지역사회의 공공영역을 구축하는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다양한 형태의 도서관·박물관·미디어센터와 같이 공공성이 강조되는 시설물을 건립하고 늘려 나감으로써 지역문화를 창달해야 한다. 이를 통해 대학과 지자체의 유기적인 협력관계를 돈독하게 하고, 지역의 품격을 고양시킬 수 있다. 지자체의 이러한 정책과 지원은 대학을 학교기업화·취업기관화하려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더욱 중요하다. 모르는 사이에 대학의 교육적·학문적·사회비판적 가치 등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취급되고, 오로지 경제적 가치만 부각되는 현 상황에서 바로 대학을 대학답게 살려주는 하나의 해법이 될 수 있다. 대학과 지자체는 그 지역의 경제적·정신적·문화적 차원의 삶의 질을 높이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에서 두 기관의 역할과 소임에 대한 재인식과 재평가가 이뤄져야 한다. 그것이 바로 지역사회와 대학이 상생하며 발전하는 길이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