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기업 유치, 지역경제 살리고 지역소멸 막는 해법

‘2022년 강원도 기업유치 설명회’가 21일 서울 코트라 국제회의장에서 열렸다. 수도권 기업들의 강원도 이전을 돕기 위해 강원일보와 강원도가 개최하는 행사로 올해로 세 번째다. 이날 설명회에서는 한국산업단지공단, 코트라, 18개 시·군 기업 이전 담당 공무원 등도 함께 참여했다. 강원도 이전을 희망하거나 검토 중인 수도권 기업들의 강원도 이전이 기업 성장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지난해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수도권 중소·벤처기업 2,188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절반 이상인 55%가 지방 이전을 고려한 적이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왔다. 이는 강원도와 18개 시·군의 수도권 기업 유치 활동에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 아닐 수 없다. 수도권 기업의 희망사항에 맞춘 유치전략을 펼친다면 수도권 기업 유치가 충분히 가능하다는 긍정적인 의미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조사 대상 기업의 42.5%와 18.5%가 각각 정부보조금과 채용 인력 인건비 지원을 지방 이전의 인센티브로 가장 선호한 점을 정부와 지자체가 유념할 필요가 있다.

문제는 지방 이전을 바라는 기업이 실행에 옮기지 못한 이유다. 협력사와의 연계 곤란(39.2%), 임직원 거주 및 자녀 교육(38.9%), 공간 확보 곤란(30.7%), 인재 유치 어려움(26.8%) 등을 꼽았다. 수도권 기업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는 강원도의 경우 임직원 거주와 자녀 교육, 지역 인재 문제에 대한 기업의 애로사항에 주목해 이를 해결하는 정책 등 맞춤형 유치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또한 지자체의 힘만으로는 힘든 부분은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에 중점을 두고 정부와 협의해 치밀하고 효과 있는 대책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수도권의 기업 집중화는 악순환을 초래하고 있다. 주민들이 좋은 일자리를 찾아 떠나기 때문이다. 수도권과 지방 간 일자리 불균형은 지방을 더 궁핍하게 하고 지방 소멸 위기를 낳고 있다. 인구 3만명 미만의 시·군·구가 2000년 6개에서 2011년 12개, 2021년 18개로 늘었다. 이런 추세라면 30년 후에 전국 228개 시·군·구의 절반 정도가 사라진다는 분석이다. 따라서 소멸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무작정 인구를 늘리려고 할 것이 아니라 일자리를 창출하는 정책에 보다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 것이 지역 소멸을 막고 지역경제의 돌파구를 찾는 길이다. 이번 행사 개최가 수도권 기업의 도내 이전에 힘을 더하고 도내 지자체들이 수도권 기업 유치전략을 가다듬어 더 많은 기업 유치를 이뤄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