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총선
총선
총선
총선

칼럼

[권혁순칼럼]춘천대첩 기념관, ‘안보 민낯’을 ‘기념’하나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1950년 6월25일 북한의 기습공격에 맞서
춘천 방어 국군, 경찰, 시민, 학생들 넋기려
전원꺼져 영상 먹통, 입구문 닫히지도 않아

남자들의 군대 얘기는 술자리 단골 안주다. “군대 가야 철든다”는 멘트는 빠지지 않는다. 그러나 재입대하라면 모두 질색한다. 꿈에 다시 군대 가는 꿈을 꾸고 식은땀을 흘린 적이 있다. 남자친구를 군대에 보낸 여자(고무신)들의 마음고생도 젊은 남자들 못지않다. “어차피 헤어진다니까”, “안 차면 네가 차여.” 고무신들이 가장 듣기 싫은 말들이라고 한다. 그래서 군 관련 정책은 우리사회에서 항상 관심이 크다. 역대 대선에서 군복무기간 단축과 모병제 공약은 뜨거운 감자였다.

강군 조건은 사기에 달려

 개인에게 군 시절은 젊음의 이야기가 벌어지고, 성장이 이뤄지는 시기다. 그런데 군 복무를 마치고 온 사람들이 자부심 대신 피해의식에 사로잡힌다거나, 원치 않은 비행선에 납치되었다가 돌아온 외계인처럼 느끼면 군의 사기는 고사하고 전쟁에서 이길 수 없다. 전쟁은 안하는 것이 최선이지만 하게 되면 이겨야 한다. 한-미동맹, 미군 철수, 대북(對北)은 함부로 다루면 안 된다. 안보 갖고 말씨름, 립 서비스하지 말고 우리 실력을 키워야 한다. 일차적으로 군이 그 중심에 서야 한다. 그래야 할 군이 요즘 만신창이다. 지난달 26일 서울 상공에 침투한 북한 무인기가 용산 대통령실 경호를 위한 비행금지구역(P-73)까지 침범했다고 군이 지난 5일 밝혔다. 군은 이번 북한 무인기를 격추시키지 못하고 국가 최고지휘부의 상공이 뚫렸는데도 차단하기에 급급했다는 사실이 백일하에 드러난 셈이다. 제 아무리 초전박살, 엄정대응을 외쳐 보았자 안보는 결코 입으로 지켜지지 않는다. 윈스턴 처칠은 히틀러의 침공을 앞두고 “평화를 구걸한다고 평화가 보장되지 않는다. 전쟁을 막기 위해서는 평화를 지켜낼 수 있는 힘이 전제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북은 핵 무장국이 되고 우리는 핵 인질이 된 상태에서 영공까지 무인기에 뚫린 지금, 우리의 안보태세와 안보의식은 어디까지 와 있는지 총체적으로 점검하지 않으면 안 되는 절박한 시점이다. 가까이 있는 것부터 챙겨야 한다. 박정희대통령의지시로 1978년 춘천시 삼천동 수변공원길에 세워진 춘천지구 전적기념관은 1950년 6월25일 북한의 기습공격에 맞서 국군, 경찰, 춘천시민, 학생들이 3일간 춘천을 방어하는데 성공한 춘천대첩을 기리기 위해 마련된 곳이다. 춘천대첩의 주요 전적지를 소개하는 TV 화면이 있었지만 영상은‘먹통’이다. 누전이 우려돼 전원은 꺼졌다. 입구문은 낡아 제대로 닫히지도 않는다. 나라를 구하기 위해 목숨을 초개처럼 버린 영령들을 기린다는 춘천지구 전적기념관은 우리의 안보의식의 민낯을 그대로 생생하게‘전시’하고 있다. 이들의 원혼을 이렇게 대접해도 되는 것인가. 또 기억해야 한다. 남북관계가 아주 좋았던 2002년에 우리 해군 참수리357정을 기습 공격해 침몰시키고 6명의 해군 장병을 전사시킨 북한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

전쟁 대비는 군의 ‘숙명’

‘손자병법’에서 손자는 “전쟁이란 (적을) 속이는 도(兵者, 詭道也)“라고 했다. 손자병법은 적을 안심하게 하고, 우리의 전력을 숨기며, 우리가 언제 어디서 공격할지 모르게 하고, 적을 이간질해 어떻게든 이기는 최고의 방법을 연구한 것이다. 그래서 다시 우리 군과 정부에 묻는다. 즉 북한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대비하고 있는가. 과거 권위주의 정권 때는 말끝마다 전쟁을 들먹였다. 국민을 두려움에 묶어 통치하기 위해 전쟁을 이용했다. 좌파 정권에서는 말끝마다 평화를 내 세운다. 국민을 풀어지게 만든다. 평화가 국민에게 흡인력이 있는 것은 당연하다. 국민은 평화를 선호하지만 군은 전쟁에 대비해야 한다. 그것이 군의 사명이고 숙명이다. 6.25전쟁때 북한 탱크가 남하할 때 우리 국군은 육탄으로 저지했다. 그런 자랑스러운 유전자를 물려받은 대한민국 국군의 후예들이 심각한 안보 불감증에 빠져 있지 않은지 돌아볼 일이다. 정권이 능력을 상실하면 다른 정당에서 정권을 인수하면 되지만 우리 군을 대신해 나라를 지켜줄 존재는 없다. 군이 비록 정치의 통제를 받음에도 정치보다 도덕적 우월감을 갖게 된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