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강원포럼]동해·묵호항 자유무역항 지정하자

심규언 동해시장

역사적으로 항만도시는 항만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다른 도시보다 빠르게 성장해 왔다. 뉴욕, 상하이, 홍콩, 싱가포르, 도쿄 등은 항만과 배후단지, 나아가 배후도시를 아우르는 항만 중심의 물류·산업 클러스터 구축과 항만도시의 공간재편 전략으로 세계적 도시로 성장했다.

강원특별자치도 비전인 ‘미래산업 글로벌 도시’ 실현을 위해 세계와 연결하는 관문이 필수적이며, 동해·묵호항은 강원도가 현재 가지고 있는 가장 효과적인 대안이고 수단이다. 동해·묵호항은 도내 무역항 중 항만시설 규모와 하역처리 능력이 가장 큰 항만이고, 2022년 기준 국내 31개 무역항 중 물동량 처리 실적이 9위를 차지할 정도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 동해항을 관할하는 동해세관의 2021년 기준 세수실적은 9,546억원으로 1조원에 육박, 강원도 전체 국세 3,931억원의 2.4배에 달하는 규모이다. 이 밖에 북한, 중국 동북 3성, 러시아 극동지역, 중앙아시아 등 북방진출의 전략적 요충지이며, 북극항로와 환동해권, 우리나라 내륙을 잇는 도내 최대 국제무역항이고 배후에는 강원도 유일의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과 동해자유무역지역 그리고 국가산업단지, 일반산업단지가 입지해 있다.

강원도 내륙의 물동량이 동해항을 중심으로 이동한다면, 강원도 전체가 내륙수송 물류비 절감 등 경제도시로 발전하는 선순환구조를 만들 수 있다. 춘천, 원주를 포함한 영서지방과 강릉, 태백, 영월, 정선 등 강원남부와 동해안 도시들의 비약적인 경제발전이 기대된다.

이에 더해 서해안의 평택항과 횡축으로 연결된 동해항이 평택~삼척(동해) 6축 고속도로로 연결되고 있는 시점에 동서를 관통하는 경제 대동맥의 큰 축이 완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미래산업 글로벌 도시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환동해권 산업물류국제도시 강원특별자치도’를 지향하는 물류 지원시설과 항만 기반시설의 확충은 필수 요건이다.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을 앞두고 강원도의 미래비전을 구상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 강원도의 현주소는 어디인가? 강원도 항만 물류정책 방향성을 보면 투 포트 정책, 지방관리항 중심의 지원정책이었고 이는 포항, 마산, 목포, 여수 등 국가관리 무역항이 위치한 다른 광역 지자체의 항만물류 정책과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북방경제시대 주도권 경쟁에 있는 포항항은 구항과 신항, 영일만항으로 이뤄진 경북 동해안의 대표적 수출입 무역항이다. 이 중 영일만항은 대구·경북지역 대표 국제항만으로 컨테이너터미널과 항만배후단지는 2008년 12월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돼 관세 유보, 통관절차 간소화, 기반시설 등 다양한 제도적 지원을 받고 있다.

그동안 동해시는 북방경제를 주도하는 산업물류 중심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왔다. 이제는 정부와 강원도가 화답해야 할 때다. 항만 특별지방행정기관이 특별자치도로 기능이 이관되고, 특별자치도에는 항만국, 더 나아가 특별지방행정기관의 역할을 수행할 조직이 만들어지고, 강원항만공사도 설립돼야 한다. 항만기본계획에 동해·묵호항을 미래를 담보할 자유무역항, 북방경제 특구도시의 중심항만으로 반드시 지정해야 한다.

동해항과 항만배후단지, 그리고 기존의 산업단지형 자유무역지역, 동해안권경제자유구역을 동해항을 중심으로 한 자유무역지역으로 확대, 개편해야 한다.

이를 통해 도내 지자체 간 협력체계 구축과 시너지 창출이 가능한 사업을 공동으로 발굴·육성해 동반성장의 기틀을 다진다면, 강원특별자치도의 비전인 ‘미래산업 글로벌 도시’에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