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월요칼럼]인구 감소, 대학·지역 함께 방안 찾아라

박덕영 강릉원주대교수

인구 절벽의 쓰나미가 몰려오고 있다. 저출산 인구절벽의 지진이 발생한 후 해안가에 그 여파가 닿기까지 30여년간의 꽤 오랜 기간이 흘러갔다. 대개의 쓰나미는 두세 번의 큰 파도가 휩쓸고 나면 멈추기라도 하건만, 인구절벽 쓰나미를 일으키는 저출산의 지진은 매년 점점 더 강도를 더해가서 그 여파가 잦아들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전 세계 최고 수준 저출산의 여파를 체감할만한 뉴스는 대학가로부터 전파되기 시작하고 있다. 대학 입학자원의 감소에 따라, 대학 폐교라는 명백히 체감할 결과가 나타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저출산이라는 초기 지진의 첫 쓰나미는 2000년대 초반부터 대학이라는 해안가를 타격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초반부터 중반까지 단기간 안에 고졸자의 숫자는 75만명 선에서 60만명 미만으로 추락하기 시작하여 2020년에는 급기야 40만 명까지 추락하였다. 이게 끝일까? 2020년도 출생아 수는 27만명이며 올해에는 심지어 23만명일 것같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2040년까지 인구감소의 쓰나미가 계속 몰아칠 것임은 기정사실이다.

각 대학은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존립을 위해 악전고투하고 있다. 혹자는 적자생존의 원칙에 따라 살아남을 대학은 살아남고 폐지될 대학은 폐지되어야 한다고 말하기도 한다. 대학이 폐교되고 대학에 소속된 교원 직원 학생들이 사라져도 지역의 산업기반이 튼튼하고 거주 인구의 규모가 크다면 일정 수준의 타격에도 그 충격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강원도 소재 도시들은 그러한 상황일까?

강릉시의 예를 보면, 시내 소재 4개 대학 인구가 시 총인구의 13%를 넘어서니 가히 강릉은 관광의 도시이자 한편으로 대학도시라고 할 만하다. 강릉시 상공회의소가 한국은행 강릉본부를 통해 수행한 연구에 의하면 교직원과 그 가족이라는 요소를 제외하고 오로지 학생들이 지역내에서 소비하는 지출은 강릉시 예산의 10%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교육부도 지역과의 상생 협력을 강조하고 있기에 이미 대학들은 캠퍼스 울타리를 넘어 지역 안에 더 깊숙하게 정착하기 위해 각종 세부 사업을 통해 노력하고 있건만, 대학이 지역에 대해서 짝사랑을 하고 있는 것 같다는 대학관계자들의 푸념이 넘친다.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노력에 비해 관내에서 큰 규모의 기업이 주는 수혜를 능가할 대학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낮고, 주말이면 타지의 젊은이들이 북적대며 찾는 관광도시에서 관광객 유치에는 신경을 쓰면서도, 미래의 주민이자 도시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주중에 관내에서 머무는 재학생들에 대한 배려는 찾기 힘들다.

대학이 타격을 입을 때에 그 여파가 클 환경에 놓인 지역이라면 그에 걸맞는 대비를 해야하는 것 아닐까. 하나의 처방으로 모든 어려움이 해결되는 만병통치약은 없겠지만 위기의 크기에 걸맞도록 노력의 벽돌을 지금부터라도 하나 하나 쌓아 나아가야 하지 않겠는가. 강원도의 지자체 관계자, 지역의 경제주체 및 대학 간에 협동해서 쓰나미에 대비할 둑이라도 점검하고 그 피해를 최소화할 방안을 머리 맞대고 모색해야 하건만 단지 걱정만 할 뿐 움직이지 않는다면 격렬한 쓰나미의 여파에 휩쓸려 떠내려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 상황을 인지하고 대처할 강원도와 시군구의 컨트롤타워는 마련되어 있고 적절히 가동되고 있는 것인지 시급히 돌아봐야 할 때이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