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온누리상품권·지역화폐 풀린다… 강원 내수활성화 도움될까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중기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 시작
행안부 지역화폐 수요 조사 시작해 6월 집행
강원소상공인 "홍보 활성화·사용처 확대 필요"

지난 1일 국회를 통과한 정부 1차 추가경정예산안에 온누리상품권·지역화폐 예산이 대거 포함되면서 강원 내수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11일부터 9월30일까지 전국 전통시장과 골목형상점가 등 취약상권 대상으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환급 행사를 추진한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중기부와 소상공인진흥공단이 발행하는 온라인 상품권이다. 정부는 이번 환급 행사 진행을 위해 올해 첫 추경이 645억원을 배정했다.

이번 환급행사는 모바일이나 카드형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결제한 금액의 10%를 같은 방식의 상품권으로 돌려주는 방식이다. 평소 10%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이번 환급 혜택이 더해지면서 실질적으로 최대 20%까지 절약할 수 있게 됐다. 10만원권 상품권을 9만원에 사서 행사기간 중에 10만원을 쓰면, 1만원 상당의 디지털 상품권을 추가로 돌려받는 식이다.

올 1차 추경에 지역사랑상품권도 4,000억원이 배정됐다.

행정안전부가 관할하고 있는 지역화폐는 지자체가 발행하고 해당 지자체 소속된 가맹점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상품권이다.

강원자치도에 따르면 전체 4,000억원 중 250억원이 강원권 지역화폐 예산으로 배정될 것으로 보고, 지역화폐가 없는 양양을 제외한 17개 시·군에 6월께 뿌려질 예정이다.

지역 소상공인들은 상품권 및 지역화폐의 할인율 확대가 소비 촉진을 유도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기대를 하면서도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극상 강원도소상공인연합회장은 “도의 경우 골목형 상점가가 지난해 6곳이 지정돼 총 10곳에 불과하다. 상품권을 쓸 수 있는 곳도 확대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