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일 국회를 통과한 정부 1차 추가경정예산안에 온누리상품권·지역화폐 예산이 대거 포함되면서 강원 내수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11일부터 9월30일까지 전국 전통시장과 골목형상점가 등 취약상권 대상으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환급 행사를 추진한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중기부와 소상공인진흥공단이 발행하는 온라인 상품권이다. 정부는 이번 환급 행사 진행을 위해 올해 첫 추경이 645억원을 배정했다.
이번 환급행사는 모바일이나 카드형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결제한 금액의 10%를 같은 방식의 상품권으로 돌려주는 방식이다. 평소 10%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이번 환급 혜택이 더해지면서 실질적으로 최대 20%까지 절약할 수 있게 됐다. 10만원권 상품권을 9만원에 사서 행사기간 중에 10만원을 쓰면, 1만원 상당의 디지털 상품권을 추가로 돌려받는 식이다.
올 1차 추경에 지역사랑상품권도 4,000억원이 배정됐다.
행정안전부가 관할하고 있는 지역화폐는 지자체가 발행하고 해당 지자체 소속된 가맹점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상품권이다.
강원자치도에 따르면 전체 4,000억원 중 250억원이 강원권 지역화폐 예산으로 배정될 것으로 보고, 지역화폐가 없는 양양을 제외한 17개 시·군에 6월께 뿌려질 예정이다.
지역 소상공인들은 상품권 및 지역화폐의 할인율 확대가 소비 촉진을 유도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기대를 하면서도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극상 강원도소상공인연합회장은 “도의 경우 골목형 상점가가 지난해 6곳이 지정돼 총 10곳에 불과하다. 상품권을 쓸 수 있는 곳도 확대해야 한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