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탑시티 내 CGV 시네마관의 정상운영이 지역상권의 최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카펠라관 건물 1층 쇼핑몰, 기업은행, 던킨도너츠, 롯데리아 등은 정상 영업을 하고 있다.
하지만 CGV가 있는 시네마관은 전기공급 중단으로 시민들의 발길이 끊기면서 주변 상권에마저 영향을 주고 있다.
또 부도처리와 전기공급 중단으로 100여명의 휴직 및 실직자가 발생해 퇴계동 신상권의 경기 침체가 가속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CGV를 비롯한 한전과 시청, 상인과 주민들을 만나 이번 사태의 조속한 해결을 위한 대책이 무엇인지 점검해 봤다.
단전사태 이후 유동인구 절반 감소 H마트 등 동반 이탈·상권 붕괴 우려
한전측 2억8,000만원 선납입 요구···市 "행정이 개입할 수 없는 부분"
■ CGV 영업 재개 가능 여부
한국전력 강원지사와 CGV 관계자는 지난 9일 전기공급을 위한 협의를 진행했지만 견해 차이를 보였다.
한전측은 투탑시티 체납액 5억여원 중 CGV측에 2억8,000만원 납입을 요구했다.
건물주에게 그동안 전기요금을 지불한 CGV측은 춘천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도의적으로 손해를 감수하겠다는 입장이다.
체납액을 직접 한전에 지급하기로 내부방침을 세우고 우선 전기공급을 요구했지만 한전 강원지사는 선납입을 요구했다.
자금이 확보되는 대로 납부하겠다고 했지만 몇 달간 지속되어 온 전기체납으로 한전측은 선납입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납부될 때까지 영업중단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계속해서 커질 전망이다.
CGV 관계자는 “전기공급 중단 전 영화관에 평일 1,500여명, 주말 7,000여명의 고객이 찾았는데 전기공급 중단 후 2주간 이 지역 유동인구는 반 이상이 줄었고 지역상권에 미치는 영향도 크다”며 “현재 인근 점포들이 CGV의 정상화를 원하고 있는 상황이며 빠른 시일 내에 해결하기 위해 모든 조치를 강구하고 있다”고 했다.
■ 한전 ‘두 번 속을 수는 없다’
한국전력 강원지사는 지난 5월부터 0% 징수율을 보이고 있는 건물에 대해 대기업의 계열사라 해서 한마디 말만 믿고 전기를 공급할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한전측은 총 체납액 중 영화관 건물의 전기요금만 납부하면 전기를 공급할 예정이다.
역시 손해를 감수하고 있다는 한전은 단전 사태가 길어지면서 여론만 더 안좋아졌다며 빠른 해결을 바라는 것은 마찬가지라고 전했다.
한전 관계자는 “현재 납부된 요금이 전혀 없는데 무작정 다시 전기를 공급할 수는 없다”며 “영화관 건물의 미납요금을 납부하면 전기를 공급할 계획을 갖고 협의 중이다.
우리도 지역경제를 위해 빨리 해결될 수 있도록 방안을 찾고 있다”고 했다.
■ 市 ‘행정적 한계가 있다’
춘천시 역시 수도요금을 받지 못하고 있지만 투탑시티 영업 정상화를 위해 여러 차례 한전과 입주 상인들을 중재하는 역할을 하는 등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몇몇 입주자들을 설득해 개별 계량기를 설치하게 하고 부분 정상 운영되도록 소기의 성과를 이끌어냈지만 근본적 해결 방안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CGV의 경우 전기사용 규모량이 커 쉽게 접촉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한전과 입주자들의 전기요금 관계는 시에서 직접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에는 한계가 있다”고 했다.
■ 입주업체 및 상권 연쇄 붕괴 우려
H마트와 던킨도너츠는 같은 건물의 CGV가 철수할 경우 동반이탈을 예고했다.
현재 던킨도너츠는 CGV 운영 중단으로 평균 50% 매출이 감소했고 H마트는 영업점 폐쇄와 간판도 내린 채 사태추이를 지켜보고 있다.
직접당사자가 아닌 인근 주변 상권도 연쇄 매출감소를 보이고 있다.
투탑시티 맞은편에서 편의점을 운영하고 있는 강모(48)씨는 “CGV의 절대적 영향으로 볼 수 없지만 유동인구가 눈에 띄게 줄고 있어 임차료를 내기도 힘든 상황”이라며 지난 토요일 점포를 정리했다.
입주자대표 장경식씨는 “CGV 정상화도 중요하지만 우선 카펠라관이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알려야 한다”며 “현재 전기공급 중단으로 주차장을 사용할 수 없어 시에 인근 도로 주·정차 단속에 대해 최소화 요청을 할 예정”이라고 했다.
■ 시민 반응
대부분 시민은 투탑시티의 공동화가 주변 상권의 연쇄붕괴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며 빠른 시일내 정상화되기를 바라고 있다.
김모(여·24·춘천시석사동)씨는 “직접 체납 당사자가 아닌데 CGV에 많은 짐을 지우는 게 아니냐”며 “CGV만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경제의 침체로 이어질까 걱정된다”고 했다.
송모씨는 시청 홈페이지에 “한전이 계약당사자도 아닌 입주업체에 전기세를 요구하는 횡포를 부리고 있는데 시는 뭘 하는지 모르겠다.
오히려 손해를 감수하는 입주업체가 적극적이고 시는 직접적 책임의 회피로 수수방관만 하느냐”며 시의 적극적인 문제해결을 요구했다.
CGV에서 근무하며 학비를 마련하던 이모(여·23)씨 등 CGV가 지역에서 채용했던 70여명의 직원 및 아르바이트생들도 빠른 정상운영을 바라며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하위윤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