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간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춘천 재개발·재건축사업이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이 사업은 구 도심 활성화를 위해 추진됐지만 건설경기의 장기 침체로 답보상태를 거듭하고 있다. 춘천의 재개발·재건축사업은 시의 주택정책, LH의 주택공급 등과 병행해 지역 균형발전과 구 도심 활성화를 견인할 핵심사업으로 추진됐지만 오히려 지역발전에 애물단지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춘천지역에서는 △정비구역 지정 4곳(소양로주택, 효일주택, 후평주공2단지, 후평주공3단지) △조합설립 1곳(소양로3지구) △정비구역 추진 3곳(효자2연립, 조양·운교동주택, 약사아파트주택 △추진위 설립진행 2곳(삼양연립, 효자2동화목주택) 등 10곳의 재개발·재건축사업이 진행 중이다.
이 가운데 최근 시공사 선정 문턱까지 갔다가 자금문제로 중단된 후평주공3단지를 비롯, 시공사를 선정한 사업은 단 한 곳도 없다. 사업시행 인가를 받은 4곳은 정비구역으로 지정된지 3~6년이 지났지만 시공사를 구하지 못해 일부지역은 폐가와 빈 상가들이 넘쳐나고 있어 이미지 훼손은 물론 우범지대 전락이 우려된다.
춘천은 수도권과의 고속접근망 확충으로 미분양아파트 물량이 '0'에 가까워 아파트 물량공급이 요구되며 재개발·재건축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업이 대형 평수 위주로 고시돼 있어 시공사들은 사업을 추진해도 분양률이 낮을 것으로 우려하며 섣불리 사업추진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지역사회에서는 주택공급 계획을 잇따라 백지화하고 축소하고 있는 LH와 이를 믿고 종합적인 계획은 물론 대비책을 세우지 않은 시의 정책을 함께 비판하고 있다.
춘천시의회 황환주 산업위원장은 “현실 타당성과 부동산 경기전망을 고려하지 않고 사업을 추진해 문제점이 발생했다”며 “주민의견 청취, 현장조사 등을 거쳐 사업을 통폐합하거나 정비구역 해제를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위윤기자 faw4939@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