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0억원 민간 투자 확보가 해법”
전체 예산 80% 달해 … 사업자 '수익성 낮다' 참여 외면
시 사업계획 공모 추진 … 사업 포기·국비 반환 가능성도
수도권과의 고속 접근망 확충에 발맞춘 남춘천 복합환승센터 조성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정부의 시범 사업에 선정된 지 1년이 다 되도록 기본계획조차 못 세우고, 사업성과 기대 효과 등을 놓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민간 투자 80%인 복합환승센터
지난해 국토해양부는 복합환승센터 시범 사업 대상지로 춘천을 비롯한 전국 8곳을 선정했다. 시는 국비와 민자 등 700억원을 들여 남춘천역 인근에 전철과 버스 택시 등 교통 환승시설, 문화 상업 등 지원시설을 한곳에 집중시키는 고밀도 복합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지하 2층부터 지상 2층까지는 환승 관련시설, 지상 8층까지는 각종 상업시설이 들어서는 것이 골자다. 전체 사업비 가운데 환승시설에만 국비 70억, 시비 70억 등 140억이 투입된다. 나머지 560억원은 민간 투자이다.
하지만 환승의 편의성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택시나 시내버스는 지금도 전철에서 내려 바로 이용할 수 있다. 환승센터의 가장 큰 편리성은 시외버스와 전철 간 환승이지만 현재 계획은 인근의 터미널을 출발한 시외버스가 환승센터를 경유, 승객을 싣고 가는 구조다.
현재 시외버스터미널과 남춘천역 간 거리는 도로로 5분 이내로 가깝다. 굳이 국비와 시비 140여억원을 들여 환승센터를 건립할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다. 또 사업이 진행되도 가뜩이나 춘천의 대표적인 교통 정체구역인 온의사거리의 교통난을 더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문제는 사업성 확보
더 큰 문제는 복합환승센터의 사업성이다. 사업비의 80%가 민간투자로 이뤄지다 보니 수익성이 담보되지 않으면 사업자가 뛰어들지 않는다. 복합환승센터의 장점은 사업구역 내의 유동인구에 있지만 27만명 도시의 춘천으로서는 한계가 있다. 전국 8개 시범 사업지 가운데 규모 등에서도 춘천이 가장 적다.
이 때문에 수백억원을 투자한 민간 사업자는 수익 창출을 위해 시의 당초 계획보다 층수 제한이나 용적률 완화 등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 이럴 경우 주변 건축물이나 상권과의 부조화 또는 특혜 시비 등에 휘말릴 수 있다.
현재 시의 정식 공모 이전에 사업 아이디어를 제안한 법인의 경우 시의 구상과 이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전국 8개 시범 사업지 가운데 실제 사업이 원활히 진행 중인 곳은 동대구 복합환승센터 1곳뿐인 것으로 전해졌다. 동대구센터 사업자로는 유통업체인 신세계가 선정됐다.
반면 춘천의 경우 사업지인 남춘천역 인근에 이미 2곳의 대형 유통매장이 들어서 있어 수백억원 투자를 통한 수익성 확보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실제 남춘천역 인근 옛 종합운동장 온의2지구 2만여㎡ 부지를 최저 450억여원에 매각하려는 시의 입찰 계획도 수차례 유찰을 거듭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본 계획 및 사업자 제안 공모 방식
시는 공모 방식으로 제안자의 사업 구상안을 놓고 평가, 적정 사업자를 고른 뒤 이에 맞춰 용도 변경 등 관련 절차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계획대로 진행된다 해도 내년 하반기에나 착공할 수 있다. 하지만 적정 사업자를 찾지 못할 경우 사업 포기 및 국비 반환이란 최악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시 관계자는 “올해 확보된 국비 7억5,000만원으로 기본설계를 하는 동시에 사업 제안자 방식으로 정식 공모를 진행할 방침”이라며 “사업자의 참여 의지가 중요한 만큼 이 부분에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춘천=류재일기자 c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