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향토자원의 융·복합으로 `돈 되는 농업' 만들자

농식품의 6차 산업화를 주목하게 된다. 1차 산업인 농수산업, 2차 산업인 제조업, 3차 산업인 서비스업이 복합된 6차 산업화로 농촌과 농업에 부흥을 가져오려는 정책 방향은 옳다. 이는 새 정부가 국정과제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농어촌 자원으로 '돈 되는 농업'을 이루려는 시도다. 도내 인삼, 버섯, 산채 등 특용작물을 비롯해 채소, 과수, 화훼, 역사문화자원, 전통식품 등 향토자원의 융·복합으로 신성장 동력을 찾아야 한다. 농식품의 생산, 가공, 관광, 서비스산업의 융·복합은 부가가치를 높이는 기회다.

농촌이 처한 현실은 '돈 되는 농업'에 기대를 갖게 한다. 농촌인구가 급격히 노령화되는 데다 농업을 승계할 후계자마저 단절되고 있다. 각종 사회집단은 해체되거나 그 기능이 약화돼 농촌 주민이 주체가 돼 발전할 수 있는 힘을 상실하고 있다. FTA가 시행되고 수입 농산물이 밀려오면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농가의 평균소득은 도시 근로자의 64% 수준에 불과하고 부채는 점점 불어나는 추세다. 이 상황에서 농가의 경쟁력 확보는 쉽지 않다. 농식품의 6차 산업화에 관심을 두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간 농촌의 총체적 난국을 극복하기 위한 정책이 수없이 제시됐다. 역대 정부와 자치단체마다 매년 다양한 발전 방안을 쏟아냈으나 농촌의 현실은 나아지기는커녕 날이 갈수록 쪼그라들고 있다. 수입산이 국산을 밀어내고 있고 식량 안보는 백척간두에 다다랐다. 도시에 청년 실업자가 넘치지만 이들이 농촌으로 가려고 하지 않는 데서 바로 우리 농촌의 현실이 그대로 드러난다. 기존 농업의 틀에서 완전히 벗어나야 한다. 향토자원의 융·복합을 그 단초로 삼아 농촌과 농업에 새로운 희망을 줘야 한다.

'국민행복 시대'는 농업이 발전해야 가능하다. 지금처럼 농촌이 풍전등화의 위기에 처해 있는 상황에서는 국민행복 시대를 열기 힘들다. 미래의 농업은 종전의 농업과 전혀 다른 기술을 요구하고 있다. 국제화 시대의 개방경제 체제에 부응할 수 있는 새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IT, BT의 적용으로 고부가가치 농업, 융합형 농업을 만들어 농촌경제를 활성화하자는 것이다. 그래야 '떠나가는 농촌'이 '돌아오는 농촌'으로, '적자 농계부'가 '흑자 농계부'로 전환된다. 농식품의 6차 산업화가 성과를 내야 한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