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7년째 방치 묵호항 재개발 대폭 축소

당초 2025년까지 1조5천억원 투자 수변도시 개발 계획

4대강 사업에 우선순위 밀려 주변 정비 등 사업 가닥

동해시 묵호항 항만 재개발사업의 거품이 꺼진다.

동해시에 따르면 2007년 10월 정부에서 묵호항 재개발 기본계획을 확정 고시하면서 2025년까지 국비 2,500억원과 민자 등 총 1조5,000억원을 투자해 묵호항 주변 128만8,900㎡에 카페리부두 테마상가 마리나시설 해양박물관 콘도 등의 시설물을 갖춘 수산·상업·관광·레저형 워터프런트(수변도시) 개발을 추진했다.

그러나 2011년 당시 국토해양부 용역을 거치면서 사업은 전면개발이 부분개발로 변경되고 규모가 대폭 축소되어 올해부터 2016년까지 국비 시비 등 모두 322억원이 투자되는 1단계 사업도 2014년까지 114억원이 투자되는 것으로 변경됐다.

부산 북항 등 전국의 노후항만 재개발사업에 민자 유치 사례가 없고 국비와 지방비가 1대1로 대응 투자되는 재정운용상 100억원 이상의 시비 확보가 사실상 불가능한데다 투자 대비 실이익이 없다는 분석이 그 이유다. 또 재개발 이후 영세상가의 경우 타 지역 이전이 곤란하고 대부분 상업시설이 정비가 불필요하다는 점도 제기됐다.

당초 묵호항 항만 재개발사업은 1단계는 2008년부터 2013년까지 1,149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며 2단계는 2014∼2018년 942억원이, 3단계는 2019년부터 2025년까지 285억원 투자를 목표로 했다.

김혜숙 동해시의원은 “2006년 7월 항만 재개발 법률안 입법예고 이후 묵호지역에 개발에 따른 기대치만 높여 놓고 4대강 사업 등으로 우선순위에 밀려 7년째 방치되다가 울릉도 여객선의 중앙부두 이전을 골자로 하는 주변 정비로 사업이 대폭 축소되었다”고 말했다.

동해=박영창기자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