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치매 예방·치료 인프라 확보 안 하면 가정 무너져

지역의 노인 치매 관리 시설 확보 방안을 서둘러 마련할 일이다. 관련 인프라 확보와 시스템 구축은 물론이다. 정부가 내년부터 2020년까지 추진할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도내 치매 환자 2명 중 1명이 치료를 받지 못한 채 사각지대에 방치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게다가 도내 65세 이상 노인(25만6,000여 명) 10명 중 1명이 치매로 고통받고 있어 대책이 절실하다.

주지하고 있다시피 노인 문제 중에서 제일 심각한 것이 치매 관리다. 환자가 사리 분별을 못 해 겪는 혼란은 물론이고 가족과 주변 사람들까지 고통을 받는다. 가정 파탄으로 이어지는 원인으로 작용해 보통 우려되는 게 아니다. 기억 장애로 인한 환자의 착각은 애교 수준이다. 시공간 지각을 못 하는 장애로 인해 큰 화를 초래하기 일쑤다. 따라서 주위 사람들까지 공포에 시달리게 한다. 우울, 무감동, 무관심, 초조, 불안 등의 행동심리 증상까지 유발돼 언제 어디서 기괴한 사고가 벌어질지 예측조차 하기 어려운 탓이다. 반면 불안하기만 한 치매는 완치되는 병도 아니다. 증세를 조기에 발견해 치매 진행 속도를 늦추는 것이 최선이다. 예방이 최선책이다. 정부가 나서 5개년 단위의 치매관리종합계획을 세워 대처하는 이유다.

의료서비스 시설과 시스템이 취약한 도는 치매 관리 여건도 미미해 더 걱정스럽다. 더구나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이 종료되는 2020년에는 고령사회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는 예측이다. 지역의 치매 예방·치료 시스템 구축이 발등에 떨어진 불인 셈이다. 도가 강원대병원에 위탁 운영하는 강원도광역치매센터에서는 현재 도내 치매 환자를 2만6,485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도내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은 치매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도내 치매 환자들의 치매진단율(치매 환자 중 확진 판정을 받고 치료와 각종 지원을 받는 비율)은 53.9%에 불과하다. 전국 평균(73.8%)보다 20%나 낮은 사실상의 최하위 수준이다. 치매 증세가 나타난 2명 중 1명은 치료는커녕 진단도 못 받고 있으니 답답한 노릇이 아닌가.

치매는 가정과 지역사회, 국가적으로도 생산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다. 이런 환자가 급증하는 추세임에도 현재 도내 18개 시·군보건소에 치매 환자로 등록돼 지원을 받는 경우는 실제 환자의 절반도 안 된다고 한다. 관계 당국과 지역사회에서 열악하기만 한 치매 예방·관리 체계부터 치밀하게 구축할 일이다. 시·군마다 치매 관리 전문인력을 배치할 수 있는 시설 확보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

가장 많이 본 뉴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