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장 활용방안 확정 지연
정부 대출규제 강화 등 겹쳐
투자심리 위축 주택거래 급감
평창지역 2월거래량 61세대뿐
도내 부동산시장 열기가 사그라들고 있다. 평창동계올림픽 이후 경기장 사후활용방안 확정이 지연되고, 금융당국 대출 규제로 투자 수요가 급감한 데 따른 것이다.
25일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도내 부동산시장 소비자심리지수는 2017년(127.9) 대비 16.5포인트 떨어진 111.4로 집계됐다. 조사 대상인 전국 15개 시·도 중 하락 폭이 가장 크다.
특히 도내 주택·토지시장 소비심리지수는 각각 18.2포인트, 0.9포인트 내려앉아 112.9, 98.0에 그쳤다.
이 같은 투자 심리 위축은 부동산 거래 축소로 바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달 도내에서는 총 4,425호의 주택 거래가 이뤄졌다. 거래량이 1년새 249호 줄어들었다. 이 같은 감소세는 춘천·원주·평창지역에서 두드러졌다. 평창의 경우 지난해 2월 510호가 거래됐지만, 지난달 61호로 급감했다. 춘천과 원주는 각각 615호, 424호 감소한 1,136호, 1,197호가 사고팔렸다.
도내 부동산시장 위축은 한층 심화될 전망이다. 정부의 가계부채 축소 대책에 따라 금융권이 각종 대출 규제 강화를 도입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시중 금리 상승으로 대출 부담이 커진 것도 요인이다. 시중 은행들은 26일부터 기존 주택담보대출에 신용대출 등 모든 대출을 포함해 심사하는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과 개인사업자대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등을 시행한다. 대출금 확보가 어려워지면서 부동산 거래가 더욱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김익수 한국공인중개사협회 강원지부 자문위원은 “올림픽 이후 전반적인 부동산 거래 둔화가 발생한 시점에서 대출 규제까지 합쳐지면 시장 침체는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종현기자 jjong@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