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강원도내 송이 사라지고 재해 잦아진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환경부 기후변화 보고서

사진=강원일보 DB

동해안 수온 49년간 1.43도 상승 … 아열대기후로 변화중

장기적으로 소나무숲 없어지고 고랭지채소 경작 어려워져

폭우·산사태 발생 확률 높아 … 기후변화 대책 마련 시급

기후변화로 인해 도 특산품인 송이버섯과 고랭지채소가 사라지고 태풍 수준의 강한 비와 산사태 등 대형 재난이 잦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환경부가 최근 발간한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20'에 따르면 지금과 같은 추세로 온실가스가 배출된다고 가정하면 2100년에는 동해안이 아열대기후 지역으로 완전히 바뀐다. 이에 따라 송이 재배에 필요한 소나무림이 활엽수림으로 바뀌면서 송이가 사라질 것으로 예측됐다. 실제 최근 49년간 동해의 수온은 1.43도 올라 남해(1.01도), 서해(1.26)와 비교했을 때 상승폭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서 내륙지방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고랭지채소와 산나물 재배가 불가능한 환경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진단됐다. 실제 최근 도내에서는 바이러스로 인해 피해를 입는 고랭지채소 면적이 증가하고 있어 기후변화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감염병, 자연재해도 증가할 것으로 환경부는 내다봤다. 일평균기온이 1도만 상승해도 말라리아 발생 위험성이 20.8%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도는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폭설 취약 지역으로 분류됐으며 중소도시, 농어촌, 해안지역이 대도시, 내륙지역에 비해 약 11배 이상 기상재해에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 도내 남부지역은 하루 강수량 500㎜ 이상에 해당하는 태풍 수준의 강수가 발생할 확률도 상승하는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2030~2040년 영동지역을 중심으로 산사태 위험성이 매우 높아질 것으로 관측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환경부는 이 같은 예측과 함께 기후변화에 따른 장기적인 대응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강원도의 경우 기후변화 관련 정책이 여러 정책과 연계되지 못하고 중요한 정책으로 부각되지 못하는 등 대책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신광문 한국기후변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기후변화가 도민들의 일상생활을 바꿔 놓을 가능성이 제기된 만큼 체계적인 대책 마련과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며 “강원도와 연구기관이 협의해 도내 취약계층에 대한 보호 방안이 우선적으로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서화기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