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상생형' 된 '강원형 일자리', 中企 모범사례로 만들자

강원형 일자리(횡성 전기차 사업)가 정부의 상생형 일자리로 지정됐다. 지난 26일 전국 첫 중소기업 중심의 상생모델인 '강원형 일자리' 지정 선포식에 참석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횡성 전기차 사업에 대한 종합 패키지 지원을 약속했다. 국비 380억원과 강원도비 740억원 등 1,120억원을 투입하고 법적·제도적 지원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광주형 일자리에 이어 제2호로 지정된 '강원형 일자리'는 2030년까지 총 2,700여명의 고용 창출과 약 3조원의 생산유발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이모빌리티 산업 육성으로 도내 제조업의 지속 하락 및 자동차부품 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 청년층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겠다는 목표에 더 가까워졌다.

상생형 지역 일자리는 노·사·민·정 타협에 기반해 지속 가능한 양질의 지역 일자리를 만드는 사업으로 올해 4월 '국가균형발전 특별법'이 개정돼 상법적 근거가 마련됐다. 지역 고용 창출에 활력을 불어넣는 게 근본적인 취지다. 상생형 일자리로 지정되면 세제 혜택을 비롯해 투자보조금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이번 지정으로 횡성 이모빌리티 클러스터에는 기업지원센터 구축, 임대형 공장 건립, 지방투자촉진보조금 등이 투자된다. 전기차 사업과 향후 자동차부품, 바이오헬스 등 여타 분야 전후방 산업과의 연계성을 높여 지역의 긍정적 파급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미 성사된 '광주형 일자리'는 대기업이 참여하는 일자리라는 측면에서 그다지 험난하지 않았다. 그러나 횡성형 일자리는 중소기업들이 협업체계로 참여하는 것이다. 절차도 복잡하고 이해관계를 조율하는 일도 결코 만만하지 않았다. 따라서 정부와 지자체 등의 지원이 더욱 절실하다.

송신근 (주)디피코 대표는 홍 부총리에게 대형 전기차 위주의 보조금 지급 정책의 문제점과 초소형 전기차와의 형평성 문제를 건의했다. 초소형 전기차가 불리한 정책의 보완을 촉구한 것이다. 차질 없는 국비 지원은 물론 현장과 지역의 목소리도 귀담아듣고 정책에 반영하는 것은 이제 첫발을 내딛는 강원형 일자리 사업에 매우 중요하다. 강원형 일자리 사업은 정부가 지자체, 중소기업과 함께 힘을 모아 혁신기업, 강소기업을 육성하는 모델이다.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비만 투입할 것이 아니라 수출 길을 뚫어주고 연구개발, 마케팅 등도 지원해야 한다. 정부가 이번만큼은 강원형 일자리 사업에 대한 확고한 의지와 믿음을 갖고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모범사례로 육성하는 데 적극 앞장서 주기를 바란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