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북한 남성 잠수복 귀순' 조사발표에도 패딩형 점퍼로 찬바다 6시간 수영 의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귀순 北남성 CCTV 10회 포착에도 8번 놓쳐…軍감시망 3시간 뚫려

사진=연합뉴스

지난 16일 월남한 북한 남성이 고성 통일전망대 인근 해상으로 헤엄쳐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발표했지만 여전히 의문점을 낳고 있다.

23일 합참에 따르면 고성 민통선 북방에서 신병이 확보된 북한 남성의 월남 경위와 군의 대응 조치 등에 대한 검열단의 현장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합참은 "북한 남성이 북한 모처에서 잠수복을 입고 해상으로 헤엄쳐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현재 관계기관에서 합동정보조사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 남성은 지난 16일 오전 1시 5분께 통일전망대 인근 해안으로 올라와 해안 철책 전방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잠수복과 오리발을 암석지대에 버리고 해안 철책 배수로를 통과해 민간인통제소(민통선) 소초 인근까지 이동했다.

합참은 월남 당시 해류가 북에서 남쪽으로 흘렀고, 귀순자가 어업에 종사했으며, 잠수복에 두꺼운 옷을 입어 부력이 생성했을 가능성 등을 이유로 제시했다.

합참은 이 남성의 옷차림을 볼 때 어느 정도 부력이 생성됐고, 해류 방향으로 미뤄 6시간 정도 충분히 수영해서 넘어왔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

북한 남성은 모자가 달린 패딩형 점퍼와 두꺼운 양말을 신고, 그 위로 잠수복을 입고 오리발을 착용했다. 잠수복은 얼굴 부분이 개방됐으나 손과 발까지 덮는 일체형으로 만들어졌다.

합참 관계자는 "패딩형 점퍼와 두꺼운 양말을 신어 체온 유지가 됐을 것으로 판단한다"면서 "잠수복 안에 두꺼운 옷을 입으면 어느 정도 부력이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당일 파도가 높았지만, 해류가 북에서 남쪽이었고 바다에 익숙한 귀순자 특성상 수영은 가능하다"며 "어업과 관련한 부업에 종사했고, 물에 익숙한 사람"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군 당국이 미 해군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해수 온도에 따른 생존 가능 시간' 자료를 보면 6시간가량 수영했다는 합참 설명에 의문이 들게 한다.

이 자료에 따르면 방수복을 착용해도 해수 온도 8℃에서는 생존 가능 시간이 2시간 15분이다. 6℃일 때는 1시간 45분, 7℃라면 2시간에 불과하다. 더욱이 의식 지속 시간은 더욱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 온도 8℃에서는 방수복을 착용해도 의식 지속 시간은 45분 남짓이다.

미 공군 탐색구조사TF 자료에도 해수 온도 4∼10℃에서는 30∼60분이면 탈진 또는 의식불명 상태가 된다. 이 온도에서 최대 생존 가능 시간은 1∼3시간가량이다.

앞서 이 북한 남성이 고성 통일전망대 인근 해안으로 월남할 당시 경계용 감시카메라(CCTV)에 10차례 포착됐는데도 군은 8번이나 놓쳐 경계·감시망에 심각한 허점을 드러냈다.

군은 이 남성이 해안으로 올라온 뒤 민간인통제선(민통선) 소초까지 이동해 식별될 때까지 3시간11분 동안 모르고 있었고, 소초에서 포착된 지 31분 만에 주요 부서와 직위자들에게 상황을 전파해 늑장 대응이란 비판도 제기된다.

이태영기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