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횡성산 전기차 포트로 판매 중단 위기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사진=강원일보 DB

(주)디피코 '포트로' 정부 갑작스러운 요건 강화 친환경차 지위 잃어

롯데슈퍼 200~300대 납품 차질…도 경형화물차 적용 등 대책

정부가 친환경차 등록 요건을 갑작스럽게 강화하면서 횡성에서 만든 전기화물차 '포트로'가 생존 위기에 처하게 됐다.

'포트로'를 생산하는 (주)디피코는 지난해 친환경 전기차 기준에 맞춘 양산 체제를 갖추고 전기화물차 포트로를 출시했지만 산업통상자원부가 올 1월 갑자기 친환경 전기차 기준을 대폭 강화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포트로는 친환경 전기자동차 지위를 잃게 되면서 대기업 납품이 막히는 등 경영상 막대한 차질을 입게 된다.

초소형 전기화물차 포트로는 지난해 10월 시판 때만 해도 '경·소형 전기화물차'에 포함돼 복합에너지소비효율 '2.3㎞/kWh 이상'의 기준을 적용받았다. 포트로의 복합효율은 4.2㎞/kWh로 당시 기준을 여유있게 통과했다. 하지만 산자부가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요건 등에 관한 규정'에 전에 없던 '초소형자동차'분야를 새로 넣고 지금까지 승용과 화물용으로 나눴던 복합에너지소비효율도 하나로 통합해 '5㎞/kWh 이상'으로 기준치를 높였다. (주)디피코 입장에서는 지난해 정부 기준에 맞게 차를 생산했지만 올 초 기준이 바뀌면서 그동안의 노력이 물거품이 될 처지에 내몰리게 된 것이다.

특히 포트로의 경우 화물용으로 제작돼 지금까지 정부의 '전기화물차' 기준만을 맞추면 됐지만, 이번에 개정된 규정에는 승용과 화물 구분을 없애면서 복합에너지소비효율을 높이는 바람에 친환경 전기차로 인정받지 못하게 됐다.

더 큰 문제는 이렇게 되면 포트로는 '영업용 번호판'을 받을 수 없다는 점이다. 정부는 영업용 화물차 시장 안정을 위해 신규 허가를 막고 있으나 2018년부터 친환경 화물차만 예외를 두고 있다. 포트로가 친환경 전기차로 인정받지 못해 영업용 번호판을 달지 못하면 당장 올 상반기 200~300대 보급을 계획한 대기업 유통업체 배달차 납품에도 차질이 불가피하다.

디피코 관계자는 “포트로는 애초 화물차로 설계돼 각진 디자인과 큰 차체의 특성상 고속주행 시 공기 저항이 거세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대로 정부의 바뀐 규정에 맞춰 새롭게 기술 개발에 나서게 되면 시간과 비용 등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강원도 관계자는 “산자부와 협의를 시작했고 규정 개정을 비롯해 포트로를 초소형이 아닌 기존의 경형 화물차로 적용 받는 방안 등을 폭넓게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횡성에 위치한 (주)디피코는 정부로부터 '강원형 상생일자리 기업'으로 불리면서 홍남기 경제부총리도 직접 방문하는 등 전국적인 관심을 받아 왔다.

횡성=정윤호기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