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학원·독서실 다녀왔는데…” 진단검사 대상 뒷북 통보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코로나 대응 시스템 불신 커져

사진=연합뉴스

원주서 대상 안내 지연 주민 불안

홍천 실외체육시설 직원 확진에도

영업중단 없이 무리한 운영 주장도

당국 “인력 부족 신속 대응 한계”

강원도 지자체들의 코로나19 대응시스템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고 있다. 감염병 확진자 발생 이후 진단검사 대상자 파악과 안내에 늑장 대응하고 있는 데다 접촉자 분류·관리도 허술해 n차 감염 및 지역사회 추가 확산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원주에서는 지난 14일 오후 모 합창단발(發) 감염병 확산이 이어진 가운데 A고교 학생이 확진자로 확인되면서 동급생과 학부모들이 불안에 떨었다. 특히 일부 학생은 진단검사 대상자로 분류된 상황에서도 보건당국의 안내가 밤 늦게 통보되며 2차·n차 감염 우려가 계속됐다.

A고교 재학생의 학부모 김모(40대·원주)씨는 “자녀가 밤늦게까지 학원과 독서실을 다녀온 후 진단검사 대상자로 분류된 것을 확인했다”며 “대상자에게 곧바로 통보해야 추가 감염을 막을 수 있지 않느냐”고 말했다.

특히 진단검사 대상자의 양성판정 가능성을 주장하며 가족들의 격리 여부를 방역당국에 문의했지만 정확한 답변을 듣지 못했다. 강원도에서만 2,500명가량의 확진자가 발생한 상황인데도 제대로 된 매뉴얼조차 운영되지 않는 감염병 대응시스템에 분통을 터뜨리기도 했다.

이에 앞서 지난 9일 홍천군 서면의 B 실외체육시설에서도 한 직원이 양성판정을 받은 이후 밀접접촉자 4명이 진단검사를 받았지만 영업중단 없이 운영돼 근로자들의 불만이 이어졌다. B 시설의 한 근로자는 “밀접접촉자와 함께 같은 공간을 사용하고 마스크 없이 식사를 했으나 검사 결과 발표 전까지 일시 격리도 없이 곧바로 근무에 투입됐다”면서 “고객에게도 전파될 가능성이 있었는데도 무리하게 영업이 이뤄졌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도내 지자체의 방역당국은 현재 코로나19 대응 매뉴얼로는 확진자나 밀접접촉자 외 감염 가능성만 놓고 관리·감독하는 데 무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확진자가 다수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인력부족 등의 이유로 신속한 대응에도 한계가 있다는 입장이다.

도내 한 지자체 관계자는 “정부의 방역지침을 최대한 적용하고 도민들의 일상생활의 지속성과 사업장의 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대응하고 있다”고 밝히며 “코로나19의 지역사회 전파 차단에 노력하는 만큼 방역당국을 믿고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고 전했다.

하위윤기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