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월요칼럼]4차 산업혁명과 새로운 경제학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이현훈 강원대 국제무역학과 교수 국제도시훈련센터 원장

코로나를 계기로 우리는 갑작스러운 온택트(온라인 콘택트) 사회로의 전환을 경험하는 중이다. 이와 맞물려 인공지능, 빅데이터, 로봇, 사물인터넷, 핀테크, 생명공학, 3D프린팅 등이 디지털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융합되면서 4차 산업혁명이 핵폭발을 하고 있다.

기업들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로봇과 같은 새로운 생산요소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에 따라 흥망을 좌우하게 됐다. 세계적 기업들이 모두 이런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핵심으로 하고 있음을 보면 알 수 있다.

한 나라의 경제발전은 국내총생산(GDP) 증가를 의미한다. 그동안 경제학은 한 나라의 GDP는 노동, 자본, 토지 등의 3대 생산요소와 이를 산출물로 바꾸는 기술 수준에 따라 결정된다고 가르쳤다. 그러나 이제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로봇이 새로운 생산의 필수요소로 추가되는 상황이다. 3대 생산요소가 아니라 6대 생산요소가 GDP를 결정하는 세상인 것이다. 즉, 노동, 자본, 토지와 마찬가지로 인공지능, 빅데이터, 로봇을 얼마나 보유하고 있느냐가 한 나라의 경제발전 수준을 결정할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의 또 다른 특징은 인공지능 로봇과 같은 기계가 인간의 육체적 노동뿐만 아니라 정신적·지적 노동까지 대체한다는 점이다. 1~3차의 산업혁명이 인간의 육체적 노동력만을 기계가 대체했다는 점과는 크게 다르다. 그야말로 1~3차 산업혁명을 뛰어넘는 '초대형 디지털 혁명'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인간은 생산활동에 노동력을 제공하고 그에 따른 소득으로 소비하며 생활을 영위한다. 그런데 기계가 인간의 육체적인 노동뿐만 아니라 정신적·지적 노동까지 대체하는 상황이 되면 인간의 일자리는 줄고 소득도 감소할 수밖에 없다. 일부는 1~3차 산업혁명 때처럼 새로운 산업과 기술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이 진행돼 온 지난 10여년 동안 청년실업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을 보면 이 주장은 틀릴 가능성이 크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새로운 산업과 기술을 선도하고 활용할 수 있는 사람들과 여기에서 낙오된 사람들 간의 양극화는 필연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일론 머스크, 빌 게이츠 같은 사람들이 보편적 기본소득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재원으로 로봇세를 거두자는 주장까지 하고 있다. 결국 정부의 지출 규모와 역할은 커질 수밖에 없다. 정부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등과 같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감시와 통제 능력을 효과적으로 키울 수 있게 됐다. 이른바 큰 정부의 등장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입장에서는 일자리가 없더라도 정부가 일정한 소득을 제공하니 유토피아 세상이 펼쳐질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기본소득이 현실화돼도 최저 생활비만을 지급하는 정도에 그칠 것이다. 결국 개인은 새로운 산업과 기술에 맞는 재교육을 통해 인공지능·로봇과 공생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4차 산업 혁명을 선도하는 기업들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가장 쉬운 방법은 이러한 테크(Tech) 기업들의 주식을 사 주주가 되는 것이다. 단기적인 주식 가격의 변동에 매달리는 투기가 아닌 새로운 기술에 승부를 거는 기업들에 대한 장기적인 투자를 해서 주주 '자본가'가 돼야 한다는 말이다. 지금은 잔물결의 흔들림보다는 큰 물줄기가 바뀌고 있는 초대형 디지털 혁명의 시대이기 때문이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