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내 미세먼지와 이로 인한 주민들의 건강 악영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강원도 맞춤형 주민참여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강원도와 한국기후변화연구원은 지난 20일 춘천 한국기후변화연구원에서 ‘강원도 미세먼지 저감 토론회'를 개최하고 학계·시민사회와 지역내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한영지 강원대 환경융합학부 교수는 “강원도 내 미세먼지 발생의 경우 불법 소각 등의 문제도 심각한 만큼 시민 활동으로 관에서 해결할 수 없는 부분을 메울 필요가 있다”고 전제하고 “전문가가 교육을 담당하고 시민 리더가 실질적인 운영을 맡는 등 전문가와 일반 시민 협의체를 구성해 활동하면 더욱 좋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시민단체 ‘미세먼지 대책을 촉구합니다'의 임애리 위원은 “서울에서는 민간 차원에서 ‘미세반장' 제도를 운영해 시민 리더가 미세먼지 대응과 녹색 생활 수칙을 안내하는 사업을 운영했었다”며 “강원도에서는 화목보일러, 농업 소각 등 지역적 특수성이 있는 만큼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김정중 강원도의회 농림수산위원장, 김종범 충남연구원 박사, 강원대 진장철 명예교수, 신광문 한국기후변화연구원 선임연구원, 유소은 춘천시 미세먼지 시민참여단 대표 등이 참석해 의견을 보탰다.
강원도는 이날 제기된 내용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지역 맞춤형 환경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김복진 강원도 녹색국장은 “주민이 주체가 돼 활동한 미세먼지 저감 사례를 기반으로 향후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박서화기자 wiretheasia@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