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광역 단위 자치단체 중 도립 성격의 미술관이 없는 곳은 강원도가 유일하다. 2006년 도립미술관 건립추진위원회가 도내에서 구성됐지만 여지껏 아무런 결론을 내리지 못한 채 15년째 답보 상태다. 강원도 내 미술계는 대통령 선거와 지방선거를 앞두고 도립미술관 건립의 당위성을 알리는 등 절호의 찬스로 여기고 있다. 도립미술관 건립 추진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과 대안, 민·관 협력의 중요성 등을 담은 기획을 3회에 걸쳐 싣는다.
도 "지자체 의견 정리 우선"
문화계 "부담감 회피 수단"
강원도는 정부의 ‘1도(道) 1미술관' 지원정책에 발맞춰 2004년 ‘강원문화인프라 10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이후 건립추진위원회를 조직해 도립미술관 유치를 희망하는 춘천, 원주, 강릉, 양구 등 4개 시·군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마쳤다. 그러나 최근까지도 도립미술관 건립 가능성은 그 형태가 흐릿한 상황이다.
도립미술관 추진 당시 도예총과 강원민예총 등은 타 시·도와 외국 미술관 등을 견학하는 등 숙원사업 해결에 앞장섰다. 건립지 선정을 위해 세미나와 토론회 등도 개최했지만 결국 마무리짓지 못한 채 도에 결정을 위임했다. 이는 도가 ‘건립'에 대한 의지를 드러내지 않아도 되는 이유가 되기도 했다.
실제 도는 15년 동안 ‘건립지'에 대한 각 지자체 및 협회 사이의 합의를 이유로 아직까지 명확한 대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
그동안 지방선거 시즌 때마다 후보들이 문화예술 분야 단골 공약으로 내놓았던 ‘도립미술관 문제'는 더 이상 거론조차 되지 않는다.
도는 여전히 “각 지자체에서 건립지에 대한 의견을 정리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되풀이하고 있다. 반대로 지역 문화계 인사들은 “민간에선 어떤 것도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 관에서 주도한 행정적 절차에 협력할 뿐”이라며 “도가 정치적 이해관계에서 벗어나 부담감을 회피하려는 수단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강원도는 3년 후 도립미술관이 없는 전국 유일의 광역지자체가 된다. 1988년 서울을 시작으로 광주, 대전, 경남도립미술관이 연이어 개관했으며, 경북과 충남도 2023년과 2024년 건립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종봉 도미협 회장은 “지역 문화예술계가 충돌해 도립미술관 건립이 미뤄진 것이 아닌 상황”이라며 “강원도는 도립미술관 추진 및 운영 주체로서 적극적인 검토를 넘어서 조속한 건립을 위한 작업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수빈기자 forest@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