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4월 중 전국 2곳 도시 확정
400억원대 예산 지원, 경쟁률 17대1
강원도만의 차별성 집중 부각시켜야
강원도가 전국 최초의 ‘탄소중립 그린도시' 선정을 위해 시동을 걸었다. 탄소중립 그린도시로 선정되면 400억원대의 막대한 예산을 지원받게 된다. 강원도의 모든 역량을 쏟아부어야 한다. 환경부는 내달 말까지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탄소중립 그린도시 공모 신청을 받는다. 광역시·도별로 2곳의 시·군을 자체 선정(제주, 세종은 1곳)해 공모에 참여할 수 있다. 정부는 평가를 거쳐 올 4월 중 전국 2곳의 도시를 첫 탄소중립 그린도시로 선정할 계획이다. 경쟁률은 17대1이다. 전국 경쟁에 나설 강원도 도시는 춘천, 원주, 강릉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중 2개 지자체를 고르기 위한 작업이 곧 착수된다. 춘천의 경우 미래에너지원인 수열에너지라는 독보적인 아이템이 장점이다. 강릉은 2020년 환경부로부터 스마트 그린도시로 지정됐고 그린산업단지 조성에 나서는 등 이미 발 빠르게 준비 중이다. 원주는 첨단산업을 비롯한 인프라가 집약돼 타 지역보다 탄소 절감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도가 교통정리를 잘해야 한다. 2곳의 지자체가 선정되면 한층 업그레이드된 전략을 마련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지역사회는 물론이고 지역정치권과도 원활한 소통으로 공조를 이뤄 나가야 한다. 정부가 공모를 통해 추진하는 국책사업은 국가가 의지를 갖고 진행하는 프로젝트다. 우선 강원도는 정부의 ‘탄소중립 그린도시' 선정 방향과 흐름을 정확히 읽어야 한다. 그동안 도가 여러 국책사업 공모에서 탈락한 배경은 그 흐름을 제대로 진단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에다 타 시·도의 움직임을 빠르게 파악하고 강원도만의 차별성을 부각시켜야 한다. 강원도로 입지가 선정되지 못한 원인을 외부 변수로 돌리는 관행에서 이제는 탈피해야 한다. 그리고 탄소중립에 대한 거시적 안목을 가져야 한다. 지나친 탄소 사용은 기후변화 등 다양한 환경 문제를 야기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되고 있는 가장 적극적인 방법이 탄소중립 정책이다.
2021년 미국이 기후변화 논의에 전격적으로 복귀하면서 탄소중립에 대한 국제적인 대응이 가속화되고, 탄소시장을 확대하는 정책이 늘고 있다. 정부도 이를 위해 탄소 배출을 줄이고 탄소흡수원을 늘리기 위한 여러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바로 탄소중립 그린도시는 탄소흡수원 확충, 순환경제 등을 촉진하게 된다. 산림이 풍부하고 녹색도시를 표방하는 강원도의 정체성과 맞아떨어진다. 강원도는 이를 잘 포장해야 한다. 더 나아가 산림을 지속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대책도 마련해 나가야 할 때다. 산림이 가지는 용도에 따라 보전과 이용을 균형 있게 관리하지 않으면 안 된다. 보전 대상 숲은 잘 가꾸고, 이용 대상 숲은 합리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숲을 지속 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산림면적은 감소하지 않도록 하고 목재총량은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