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2일 오후(현지시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됐다고 규정하고 러시아를 향한 첫 제재 조처를 단행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한 연설에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큰 부분을 잘라내겠다고 했다"면서 "이는 우크라이나 침공의 시작"이라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전 조처를 훨씬 더 뛰어넘는 제재를 부과할 것이라면서 러시아 최대 국책은행인 대외경제은행(VEB)를 비롯해 2곳의 러시아 은행을 서방으로부터 전면 차단하는 등 서방에서의 자금 조달을 제약하겠다고 밝혔다.
또 러시아 지도층과 그 가족에 대한 제재를 부과하고, 러시아의 국가 채무에 대해서도 포괄적 제재를 시행하겠다고도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어 "유럽의 다른 지역에 있는 군대와 장비를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등 발트해 연안 국가, 즉 동유럽 쪽으로 더 가까이 이동할 것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조처가 전적으로 방어적인 이동으로, 미국은 러시아와 싸울 의도가 없다고 했지만, "미국은 동맹과 함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영토를 속속들이 방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로이터통신은 이와 관련, 미 보병 800명과 8대의 F-35 전투기, 32대의 AH-64 아파치 헬기 등이 동유럽에 배치된다고 보도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러시아가 긴장을 고조시키면 제재 수위 역시 더 올라갈 것이라며 "러시아가 계속 공격할 경우 추가 제재를 포함해 훨씬 더 심한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최악의 시나리오를 피할 시간이 아직 있다. 미국과 동맹들은 외교에 여전히 열려 있다"고 말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도 이날 "이제 러시아의 침공이 시작됐다. 더는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을 만나는 것은 의미가 없다"면서 라브로프 장관에게 회담 취소를 알리는 서한을 보냈다고 전했다.
우크라이나 침공을 막기 위해 미러 외교장관 회담을 추진했고, 이 역시 '러시아의 침공이 없을 경우에 한해서'라는 조건을 사전에 달았음에도 러시아가 이를 무시하고 사실상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상 회담이 의미가 없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앞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전날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의 친러시아 분리주의 세력인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 루간스크인민공화국(LPR)의 독립을 승인하고 이 곳에 군 병력 투입을 명령하면서 미·러 간 일촉즉발의 '신냉전' 전선이 형성됐다.
이태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