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道 하루 확진자 5,000명 육박, 개인 방역 더 중요해져

방역패스를 해제한 첫날인 지난 1일 도내 하루 확진자는 4,971명으로 5,000명대 진입을 코앞에 뒀다. 도내 방역 당국에 따르면 이날 신규 확진자 수는 4,971명(밤 10시 현재)이다. 원주와 춘천은 도내 기초지자체 중 처음으로 일일 확진자 수 1,000명을 넘어섰다. 전국적으로는 21만9,241명으로 사상 처음으로 20만명대를 돌파했다. 방역 당국은 확진자들이 대부분 가족·지인 간 접촉 등 개인적인 활동에 따른 전파로 인해 감염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같은 확산세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방역 당국은 이날부터 식당·카페 등 다중이용시설, 의료기관과 요양병원을 포함한 감염 취약시설, 50인 이상 모임·집회·행사에 적용한 방역패스를 전면 중단했다. 청소년 방역패스도 마찬가지다. 새로운 변이가 출현하지 않아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달렸지만 사실상 폐지나 다름없다. 그러나 방역패스를 해제한 날부터 신규 확진자가 급증하다 보니 정부가 무리하게 방역 정책을 완화했다는 비판 여론도 고개를 들고 있다.

춘천의 경우 열흘도 안 돼 하루 확진자 수가 두 배 가까이 늘 정도로 도내 오미크론 변이 확산 속도가 빠르다. 전국적으로는 사망자가 델타 변이가 기승을 부리던 지난해 12월보다 많아졌다. 방역 당국은 현재 700여명인 위중증 환자가 오미크론 정점인 이달 중순 4배 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방역패스 해제로 이제부터 오미크론 변이 방어는 개인 책임하에 이뤄지게 됐다. 확진자 폭증에 따른 보건소 업무 과부하와 방역패스에 대한 계속된 소송, 소상공인들의 고통 등을 고려한 조치라고 한다. 그러나 사망자가 최대치를 경신하고 위중증 환자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사태를 악화시키지 않을까 우려스럽다. 확진자 폭증이 예상보다 빨리, 훨씬 강한 강도로 찾아오면 의료 체계가 붕괴될 수 있다. 그리고 그 피해는 개인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자발적인 방역수칙 준수가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정부의 방역 완화와 관계없이 불필요한 활동을 최대한 자제해 스스로를 보호해야 한다. 마스크 착용 등 기본적인 방역수칙도 철저히 지켜야 한다. 정부와 지자체도 이대로 손을 놔서는 안 된다. 소아·청소년 등 800만 미접종자를 보호하는 대책이 필요하다. 미접종자는 12세 이상의 5.8%에 불과하지만 지난 8주간 중환자의 59.6%, 사망자의 60.2%에 달한다. 경구용 치료제를 신속하게 처방함으로써 인명 피해도 줄여야 한다.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 급증에 차질 없이 대비하기 위한 의료시스템도 갖춰야 한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