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복합 재난 된 영동 산불, 신속한 복구·지원 있어야

피해 면적 70% 강릉 옥계·동해에 집중

“첨단과학 활용 방화수대 조성 등 인프라 개선

지역 미래 새로 디자인하는 기회 만들 때”

지난 4일부터 시작된 강원도 산불은 엄청난 피해를 냈다. 피해 면적의 70%는 강릉 옥계면과 동해 지역에 집중돼 있다. 정부는 이날 경북 울진군에서 발생해 강원도까지 확산된 산불과 관련, 재난사태를 선포했다. 신속한 복구와 지원이 따라야 한다. 그동안 재난사태가 선포된 경우는 2005년 4월 강원도 양양 산불, 2007년 12월 허베이스피리트호 유류 유출 사고, 2019년 4월 강원 산불 등이며 이번이 4번째다.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대형 산불에 그야말로 속수무책이었다. 소방차와 헬기가 집중적으로 투입되면서 그나마 피해를 줄였다. 돌이켜보면 그간 봄철 산불은 그냥 산불이 아니었다. 산불은 산림과 주택만을 태우는 것이 아니었고 생활 전반을 혼란에 빠트리고 도시가 마비된다는 것을 보여줬다. 통신사 기지국과 중계기를 태워 인터넷 장애를 발생시켰으며 배전선로가 소실돼 정전사태를 일으켰다.

고속도로와 철도 시설은 산불 위험 때문에 차량 통행과 열차 운행이 일시 통제되거나 중단됐다. 산불이 주택가 밀집지역으로 퍼질 것에 대비해 도시가스가 차단됐으며 식당 등 시설이 불에 탄 학교는 휴업했다. 일부 군부대는 산불을 피해 인근 안전지역으로 대피하기도 했다. 도로변 주유소와 LPG 충전소 직원들은 산불로 인한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소방대원들과 함께 밤새도록 사투를 벌였다. 요양병원에 입원한 거동이 힘든 노인들도 산불 때문에 한밤중에 대피해야 하는 불편을 겪었다. 2005년 4월 강원 양양에서 시작한 산불은 낙산사를 덮쳐 보물 등 소중한 문화재를 태웠다. 이 모든 것이 산불 때문에 생겨난 피해다. 봄철 산불은 피해마저 동시다발적인 복합 재난 형태를 띠고 있다. 봄철 산불이 바람 등 기상현상에 편승해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어 자연재난이지만 피해 양상은 사회재난에 더 가깝다.

특히 봄철 강원 영동지역에서 발생하는 산불은 바람이 잦아들지 않으면 헬기로도 진화가 쉽지 않다. 지금부터라도 반복되는 대형 산불을 막기 위해 행정 당국은 촘촘한 예방 및 진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기상이변으로 건조현상이 심화하고 강풍이 사그라지지 않는다면 대규모 산불은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다. 산불 관련 인프라를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첨단과학을 활용한 방화수대 조성, 빅데이터에 기반한 고유한 산불 양상에의 선제대응 등이 그것이다. 도심 자연녹지 관리를 획기적으로 강화함으로써 도심 산지를 일반시설물에 준해 관리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동해안 산불과 같은 대규모 사건을 수습하기 위한 일들을 패키지 형태로 추진하는 것은 정책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이는 필요한 과업을 체계적으로 분류함으로써 필수적으로 나타나는 문제들을 촘촘히 챙길 수 있게 해준다. 재해는 미리 예견하고 철저히 예방하는 것이 최상의 길이다. 이번 산불은 지역의 미래를 새롭게 디자인하는 기회가 돼야 한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