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세가 날로 가팔라지고 사망자도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지난 4일 ‘사회적 거리두기'를 또다시 완화했다. 정부는 식당·카페 등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을 5일부터 밤 11시까지로 1시간 연장했다. 영업시간 연장은 오는 20일까지 적용된다. 사적모임 6인 이하인 인원 제한 규정은 확진자 급증세를 고려해 현행대로 유지했다. 하지만 코로나19 하루 사망자는 200명대로 올라섰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200명대 사망자는 처음이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세가 정점을 향하면서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는 계속 증가할 전망이다. 확진자도 폭증하고 있다. 지난달 28일 누적 확진자가 300만명을 넘은 지 5일 만에 400만명으로 늘었다. 아직 오미크론 변이 유행이 정점에 이르지 않아 누적 확진자는 곧 500만명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2주 전 거리두기를 완화하면서 “지침을 2주마다 개편해 왔지만 이번엔 대선을 감안해 3주간 적용한다”고 밝혔었다. 이를 뒤집고 대선을 닷새 앞둔 시점에 더 완화했다. 방역패스도 전격 해제했다. 지나치게 ‘일상 회복'을 서두르는 것 아니냐는 우려와 함께 정치방역 논란까지 일고 있다. 코로나 지표를 봐도, 전문가 의견을 들어봐도 방역 완화 속도전에 나설 만한 근거를 찾기 어려워 더욱 그렇다. 오히려 방역 지표가 하루가 다르게 악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걱정이 앞서는 게 사실이다. 강원도의 경우 확진자 수가 4,000명대를 돌파한 지 불과 사흘 만에 5,000명 중반대를 기록했다. 지난달 22일 처음으로 3,000명대를 넘어선 뒤 1주일 만에 4,000명대에 접어든 것과 비교해도 확산 속도가 더욱 빨라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초·중·고교 등교 수업이 시작되고 사회적 거리두기도 완화되면서 확진자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폭증하는 재택치료 환자에 대한 적절한 관리, 병상 여력 확충 및 효율적인 활용, 응급의료 시스템 정비 등 정부가 시급히 해야 할 일이 많다. 오미크론 특성과 자영업자의 고통을 명분으로 내세우면서 아직 정점이 어디일지 알 수 없고 의료 여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이런 대응은 국민들의 불안감만 키운다. 3월은 코로나와의 싸움에서 매우 중차대한 고비다. ‘유행 통제'에서 ‘고위험군 치료' 중심으로 방역·의료체계를 전환하는 것이 불가피하더라도 그 전제는 확진자가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위중증으로 악화하거나 숨지는 일은 최소화돼야 한다는 것이다. 아직 코로나19가 유행의 정점에 이르지 못한 상황에서 국민을 위한 정확한 판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