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산불 초동진화, 초대형 헬기 없는데 가능하겠나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2020년 국비 115억원 확보하고도 지지부진

강원도는 지형 특성상 강한 풍속 ‘일상화'

소형 헬기로는 비행 어려워 초동대처 안 돼

강원도는 특히 영동지역은 해마다 봄철 대형 산불에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있다. 언제까지 지켜만 봐야 하는지 답답한 노릇이다. 1996년 고성산불, 2000년 동해안 산불, 2005년의 양양산불은 모두 봄철에 발생했다. 그 이후 강원도는 산불로부터 산을 지키기 위해 연간 400억원 이상의 재원을 투입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 산불 발생은 끊이지 않고 있다. 강원도는 많은 인원과 장비를 동원, 산불 위험 요인을 감시하고 산불 초동진화에 안간힘을 쓰고 있으나 면적이 넓고 출동거리가 길어 조기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기에다 강원도의 국토 환경적 입지 여건은 대형 산불 발생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지형은 평면적 대비 경사면적이 10.08% 더 많아 초동진화가 제대로 안 되고 있다. 또한 태백산맥과 동해 바다의 영향으로 ‘양간지풍'으로 대표되는 강한 풍속은 초속 20m를 초과해 산불 확산 속도를 높이고 산불진화헬기의 비행을 불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런 상황인데도 지역의 숙원인 초대형 산불진화헬기는 예산을 확보해 두고도 수년째 도입이 미뤄지고 있다. 강릉, 동해, 삼척, 영월, 경북 울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이번 산불도 강원도에 초대형 헬기가 배치돼 있었다면 효율적인 초동조치가 가능했을 것이라는 지적이 그래서 나온다. 강원도는 2014년부터 정부에 270억원 상당의 초대형 헬기의 동해안 상시 배치를 위한 국비 지원을 요청해 왔으나 매번 묵살됐다. 그러던 중 2020년 하반기 국비 115억원이 확보됐다. 그러나 정부가 국산헬기인 수리온의 활용 가능성을 따져볼 것을 요구해 지난해 강원도의 헬기 조달계획에 차질이 빚어졌다.

현재 강원도가 보유한 2대의 소방헬기는 담수량이 1,500ℓ에 불과하지만 초대형 헬기는 최대 4,000ℓ에 달해 효율적인 산불 대처의 유일한 대안이다. 산불 진화 초대형 헬기 도입을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된다. 산불은 지역성이 매우 강해 발생지역에 따라 산불 피해 범위와 피해액이 큰 차이가 있다. 강원도의 경우 넓은 산림자원으로 인해 임업생산 가치 피해액이 타 시·도에 비해 크다. 지난 4일부터 강릉, 동해, 삼척, 영월 등을 동시에 덮친 화마(火魔)로 축구장 면적(0.714㏊·7,140㎡)의 3,172배에 달하는 임야 2,265㏊가 잿더미가 됐다. 정부는 강원도 산불 피해 복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삶터를 잃은 피해 주민들에 대한 위로와 지원이 절실하다. 산불을 조기에 진화할 수 있도록 방재체계를 재점검하는 일도 서둘러야 한다.

우선은 이번 산불에서 나타난 초기 대응의 문제점은 무엇이었는지부터 따져봐야 한다. 아울러 봄철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산불에 대한 장기적 대책을 세워야 한다. 강원도 산간지역은 소나무 위주의 단순림으로 조성돼 화재에 취약하다. 불에 강한 수종을 심어 산불 확산을 차단하는 군락지를 만드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관련기사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