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안철수 인수위원장 "국민 항체 양성률 조사해 방역 정책에 반영"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방역패스 더 이상 필요치 않다고 생각…5~11세 접종, 선택에 맡겨야" "소상공인 만기연장 등 인수위 차원서 요청 계획, 빠르면 내일쯤 협의"

사진=연합뉴스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은 22일 "일반 국민 대상으로 항체 양성률을 정기적으로 조사해서 방역 정책에 반영하는 게 좋겠다"고 밝혔다.

안 위원장은 이날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자신이 위원장을 겸임하고 있는 코로나비상대응특별위원회의 결과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안 위원장은 먹는 코로나 치료제 확보 방안과 관련해 "팍스로비드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전례는 없었지만, 제약사에 요청해서 특허에 대한 로열티를 내고 국내에서 복제약을 만들 수 있을지 가능성을 타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팍스로비드 등 경구치료제가 굉장히 모자란다. 아마도 4월이 되면 완전히 동이 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경구 치료제 확보에 최선을 다해 치료제가 부족해서 돌아가시는 분들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고 밝혔다.

안 위원장은 또 "재택 치료보다는 1차 의료기관, 그러니까 동네 의원들에서 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바꿔야 한다"면서 "고령이나 기저질환 등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확진자가 계시는데 그분들에게 증상이 나타날 경우 최우선적으로 검사하고 치료받을 수 있게 하는 패스트트랙을 만드는 게 좋겠다"고 밝혔다.

패스트트랙과 관련해 "50세 이상 또는 50세 이하라도 기저질환이 있는 분들은 그렇게 분류하고 이분들이 증상이 좀 심해질 때 최우선적으로 조치할 수 있도록, 마치 줄이 있으면 두 줄이 있는 상황에서 한쪽은 패스트트랙, 한쪽은 일반 검사자들 이런 식으로 만들면 그게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겠다 싶다"고 설했다.

이어 "백신 부작용 데이터 이런 자료를 모두 다 투명하게 공개하고 분석하는 게 옳겠다"면서 "그래야 다음에 또 새롭게 다가올 팬데믹에 우리가 대응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안 위원장은 또 "일반 국민 대상으로 항체 양성률을 정기적으로 조사해서 방역 정책에 반영하는 게 좋겠다"면서 "더 정확하게 어느 정도 국민들이 지금 한 번씩 감염됐다가 회복됐는지 알기 위해서는 여론조사 식으로 샘플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인수위 대변인실은 공지를 통해 안 위원장이 언급한 '항체 양성률 조사'에 대해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샘플링을 통한 항체 양성률 조사를 설명한 것"이라며 전국민 대상 항체양성률 조사는 아니라고 부연했다.

5~11세 백신 접종에 대해선 "본인과 부모의 선택에 맡기는 게 바람직하다고 다들 의견을 모았다"면서 방역 패스에 대해서도 "더 이상 이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안 위원장은 "현 정부 방역 정책을 저희는 정치방역이라고 그렇게 평가한다. 즉 여론에 따른 정책 결정이어서 여러 가지 실수가 나왔다는 분석"이라며 "새 정부는 과학 방역, 객관적 자료에 근거한 정책 결정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영업 중단에 따른 손실 보상에 대해선 "소상공인·자영업자들 영업 상황이 아직 정상화가 되지 않은 만큼 금융위에서 금융권과 조속히 협의를 완료해서 만기 연장, 상환유예 조치 시행할 것을 인수위 차원서 요청할 계획"이라며 "빠르면 내일 정도 협의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태영기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