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강원포럼]지역을 먼저 생각하는 올림픽

유정배 강원도사회적경제지원센터장

2018평창동계올림픽이 불과 260일 남았다. 중앙정부의 무관심으로 올림픽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매우 낮다. 조직위원회는 개최도시에 어떻게 유산을 남길 것인지 외면했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이후에는 달라질까?

2002년 IOC는 올림픽이 개최도시에 사회적 책임을 할 수 있도록 올림픽 헌장을 개정했다. 올림픽 개최도시가 경제적·사회적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올림픽 유산' 개념을 도입했다.

올림픽 개최도시 가운데 지역발전을 위한 유산이 창출된 대표사례는 2010년 캐나다 밴쿠버올림픽과 2012년 런던올림픽이다. 밴쿠버올림픽은 향토기업과 사회적 기업이 올림픽에 상품과 서비스를 조달할 수 있게 해 약 630억여원에 이르는 조달 성과를 일궜다. 런던올림픽에서 영국정부와 조직위원회는 사회적기업을 육성·지원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올림픽 조달청은 사회적 기업과 소수인종·여성·장애인 기업이 조달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수립했다. 지역 주민에게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해 일자리를 창출하며 지역사회의 미래에 재투자 하겠다는 기조를 정하고, 2015년까지 200개 기업을 발굴·육성, 1,000여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이들은 BITC(Business in the Community)와 같은 중간지원조직과 협력, 협찬사인 BP, 코카콜라, 딜로이트 등과 같은 대기업을 사회적기업과 연계시키는 등 올림픽이 거대기업의 잔치가 되지 않도록 배려했다.

그 결과 런던올림픽은 사회적경제를 활성화시켜 지역에 유산을 남겼다는 평가를 받아 성공적인 올림픽이라는 칭송을 받았다.

강원도사회적경제지원센터는 그동안 평창동계올림픽에 사회적경제 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열기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했다. 사회적경제 우수상품을 선정해 기업의 역량을 끌어올리고 상품을 고도화 하는 사업을 진행했다. 영원무역, 롯데 세븐일레븐 등 올림픽 협찬기업과 연계망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강원도만의 힘으로는 조직위나 글로벌 기업·대기업 등과 같은 협찬기업과 연계를 형성하기 어렵다. 지역 차원의 노력으로는 올림픽 유산 창출을 위한 다양한 홍보나 마케팅에 한계가 뚜렷하다. 문재인 정부는 소득주도 성장정책을 핵심 경제정책으로 제시하고 있다. 소득주도 성장은 일자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사회적경제는 사회혁신과 주민참여를 통해 일자리를 획기적으로 늘리는 핵심정책수단이다. 평창동계올림픽은 지역 주민이 참여하는 소득주도 성장정책의 상징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올림픽 협찬기업과 연계하면 기념품이나 응원도구 등을 향토기업이나 사회적경제기업이 공급할 수 있다.

사회적경제 기업들이 올림픽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한경쟁입찰 등 행정권고도 가능하다.

무엇보다 대통령께서 올림픽이 거대기업들만의 잔치가 아니라 사회적 약자나 지역사회를 위한 올림픽이 돼야 한다는 점을 천명해야 한다.

외부 기고는 본보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