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국민연금 7월부터 인상, 연금개혁 논의는 언제 하나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국민연금 보험료 산정기준인 기준소득월액 상한액이 7월부터 553만원, 하한액이 35만원으로 각각 상향 조정된다. 상한액은 기존 524만원에서 29만원, 하한액은 33만원에서 2만원 인상됐다. 전체 가입자 평균소득의 최근 3년간 평균액 변동률(5.6%)을 반영한 데 따른 것이다. 이번 기준소득월액 변동치가 적용되면 향후 국민연금 최고 보험료는 49만7,700원으로 전년보다 2만6,100원 오른다. 또 최저 보험료는 3만1,500원으로 1,800원 인상된다. 2021년 말 기준으로 보험료 상한액을 내게 될 고소득 국민연금 가입자는 239만명, 하한액을 내게 될 가입자는 14만7,000명 정도다. 하지만 연금급여액 산정기준인 가입자 개인의 생애 평균소득월액이 높아져 연금 수급 연령이 도달하면 기존보다 더 많은 연금을 받게 된다.

인상률 5.6%는 최근 5년간 변동률 중 가장 높다. 2018년 4.3%, 2019년 3.8%, 2020년 3.5%, 2021년 4.1%였다. 월급은 그대로인데 국민연금 보험료만 오른다는 불만을 터트릴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보험료율은 결코 다른 국가에 비해 과도하지 않다. 국민연금은 소득월액 상한 하한액 사이에 9% 보험료율을 적용해 보험료를 부과하고 있다. 1998년 이후 24년째 9%를 유지 중이다. 상한액보다 소득이 많으면 상한액에 해당하는 최고 보험료를 내고, 하한액보다 소득이 적으면 하한액 기준 최저 보험료를 낸다. 하지만 독일(18.7%), 일본(18.3%) 등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 2018년 제4차 국민연금 재정 추계 결과를 보면 국민연금은 2042년 적자를 내기 시작해 2057년 기금이 바닥날 것으로 예측됐다. 저출산 고령화가 빨리 진행되는 상황에서 돈 낼 청년은 줄고 돈 받을 노인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연금개혁은 20대 대통령선거 과정에서 모든 후보가 동의할 만큼 국가 주요 현안이다. 연금제도가 오래 존속하려면 내는 돈보다 더 많은 돈을 받아 가는 근본적 틀을 개편해야 한다. 따라서 국민연금의 기금 고갈을 고려할 때 보험료율 인상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저항이 만만치 않기에 선뜻 꺼내기도 어려운 게 사실이다. 특히 공무원연금과 군인연금은 더 큰 문제다. 이들 연금은 국민연금보다 혜택이 많은데 국고에서 지원해 준다.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등의 개혁은 굉장히 복잡한 문제이고 시간이 오래 걸려 국민적 합의가 필요하다. 연금개혁을 둘러싼 갈등이 더 커지기 전에 논의에 나서야 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