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교육감 선거 무관심, 교육정책 낙후로 이어진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기호·정당 없어 '깜깜이 선거' 되기 십상

유권자 눈길 붙들기 힘들어 출마자들만 분주

적극적인 참여 통해 학생·학부모 피해 줄여야

기호도 없고 정당도 없는 교육감 선거는 ‘깜깜이 선거, 묻지마 투표'가 되기 십상이다. 자치단체장·의원 선거와 동시에 치러지는 탓에 후보들이 유권자의 눈길을 붙들기는 더욱 어렵다. 후보별 정책은커녕 누가 출마했는지조차 모르는 유권자가 허다하다. 출마자들만 분주하다. 강원도교육감 선거 후보자 등록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예비후보들의 단일화가 추진되고 있다.

강삼영·문태호 예비후보가 주자로 나선 진보진영은 단일화 추진 실무 기구의 출범을 눈앞에 두고 있다. 신경호·원병관·유대균 예비후보가 속한 보수진영은 단일화 여론조사 횟수와 시기, 가산점 부여 등을 놓고 후보 간 기싸움이 장기전으로 흘러가고 있다. 민성숙·조백송·최광익 예비후보는 아직은 유세 활동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이런 상황에서 교육 관련 쟁점도 뚜렷하게 떠오르지 않고 있다. 자칫 ‘보수냐, 진보냐' 따위의 이념논쟁이 교육감 선거의 주요 쟁점이 될 수 있다. 이렇다 보니 교육감 선거가 ‘인기투표'가 될 가능성이 크다. 자질과 능력을 갖춘 후보보다 지명도가 높은 후보가 절대 유리하다. 그러나 초·중등교육에서 교육감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다. 교육감은 학교의 존폐와 선발 방식, 예산 편성과 교원 인사권 등 교육현장을 실질적으로 관장한다. ‘교육 대통령'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학업성취도 평가 등 학교현장의 문제들을 크게 바꿀 수 있는 사람도 교육감이다. 교육감은 ‘묻지마 인기투표'로 뽑기엔 너무도 중요한 직책이다. 후보 개인의 유불리를 떠나 이 시대의 교육적 과제가 어떤 것이고, 이를 해결하는 데 앞장서야 할 교육감이 갖춰야 할 자질과 철학은 무엇인지 곰곰이 짚어보는 계기가 당연히 교육감 선거를 통해 드러나야 한다.

교육기회의 형평성 확보는 매우 시급한 교육적 과제다. 소득 격차 확대에 따른 교육기회의 양극화 문제는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자녀의 명문대 진학률이 부모 소득에 따라 무려 10배 이상 차이가 난다는 통계자료도 있다. 부모 소득에 따라 아이들의 장래희망마저도 격차가 크다는 ‘꿈의 양극화 현상'도 큰 문제다. 교육기회의 차이는 결국 사회경제적 격차로 귀결된다는 점에서도 한시도 미룰 수 없는 과제다. 아이들을 무한경쟁에 내몰아 꿈을 갉아먹고 상상력을 옥죄는 교육환경은 당연히 개선돼야 한다. 이런 문제들은 교육을 바라보는 교육감의 근본적 관점, 교육에 대한 철학과 직결된다. 교육감 선택에 앞서 후보가 어떤 삶을 살았고 어떤 이력을 지녔는지를 꼼꼼하게 따져보는 일은 그래서 중요하다.

교육감 선거에 대한 무관심은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고스란히 피해가 돌아간다. 아이들의 미래를 조금이라도 소중하게 여기는 유권자라면 교육감 후보들의 교육철학과 정책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고 선거에 적극 참여해야 할 것이다. 즉, 유권자들은 교육감 선거 무관심은 교육정책의 낙후로 이어진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