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원자재 대란에 도내 건설현장 셧다운, 대책은 뭔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도 내 건설현장 곳곳이 멈춰 서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 이미 공사가 중단된 현장은 언제 재개될지 기약이 없다. 국제유가 상승과 전 세계적인 물류 대란 여파로 건설자재 값이 급등하고 있는 탓이다. 그렇다고 시공사인 건설사가 무작정 공사비 인상분을 떠안을 수도 없다. 계약한 대로 공사를 진행하면 ‘줄도산'을 피하기 어렵다는 도내 건설업계의 호소가 이어지는 이유다. 발주처에 단가 인상을 요구하기도 힘든 상황에서 계약대로 공기를 맞춰야 하는 부담도 크다. 이에 당초 예정됐던 공사가 미뤄지는 것뿐만 아니라 일부 건설업체에서는 수천만원대의 지체보상금을 물게 될 것을 걱정하고 있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건설업체들은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아예 공사 시작을 미루는 현장도 늘어나고 있다.

이에 올해 착공물량도 전년 대비 4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건설 경기 회복에도 차질을 빚고 있다. 자재 값 상승분 보전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건설업체 피해가 커지는 것은 물론 부실시공 문제까지 발생할 수 있는 지경이다. 한국물가협회의 ‘주요자재 월별가격추세' 자료에 따르면 이달 기준 보통철근(SD300) 가격은 톤당 116만3,000원으로 전년 동기(82만5,000원)와 비교해 41% 올랐다. 같은 기간 ㄱ형강 역시 톤당 84만원에서 131만원으로 56% 급등했다. 이 밖에 목재(미송각재)와 벽돌도 각각 27.3%, 26.3% 상승률을 기록했다. 시멘트도 4월분 정산부터 15%대 인상이 적용될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설계변경, 계약금액 조정 등 발주처의 고통 분담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자재 가격 급상승과 수급 불안의 여파가 고스란히 도내 건설업계로 확산되고 있다. 이번 자재 대란은 얼마나 지속될지 가늠하기조차 어렵고 조기 수습도 어려울 것으로 보여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공사현장 셧다운이 길어질수록 지역경제도 침체된다. 건설협회는 최근 자재 수급 불안에 대한 정부 차원의 대안을 마련해 줄 것을 국무조정실 등 정부 관계부처에 건의했다. 툭하면 원자재 대란이 터지고 있다. 이대로는 안 된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원자재 가격 리스크 관리 방식이 대폭 개선돼야 한다. 주요 원자재와 부품은 단순 상품 거래가 아닌 국가 안보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핵심 품목이다. 세계가 글로벌 공급망 문제로 생존 경쟁을 벌이는 상황에서 단기 미봉책으로 끝낼 사안이 아니다. 정부는 요소수 대란을 교훈 삼아 취약한 원자재 공급망 관리를 개선하고 안정적인 중장기 대책을 세워야 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