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농가 부채 4년 연속 3,000만원 넘어, 대책 시급하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도 내 농가의 경제 사정이 나아지지 않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도내 농가의 평균 부채액은 3,289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 여파가 크게 반영됐던 2020년 3,634만원보다는 345만원가량 줄었지만 2018년부터 4년 연속 3,000만원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보다 앞선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적게는 1,000만원 선, 많게는 2,000만원 후반대였던 점을 감안하면 최근 4년간 부채 규모가 늘어난 셈이다. 더욱이 지난해 도내 농가순소득은 3,039만원으로 부채액 규모보다 적어 경영 부실 우려도 커지고 있다. 농사를 지을수록 빚만 더 불어나는 구조라면 이는 심각한 문제다. 복지 농촌을 꿈꾸며 선진 영농을 도입하고 있지만 부채만 증가하고 있는 셈이다. 농업을 규모화하느라 얻어 쓴 비용을 건지지 못한 채 빚더미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1년 농사를 지어 봐야 채무 상환도 하기 힘들어 어쩔 수 없이 생계와 자녀 교육비 등으로 금융 대출을 받는 악순환만 거듭하고 있다.

농민들의 부채가 예사롭지 않다. 농촌 경제의 어려운 현실을 들여다볼 수 있는 대목이다. 농민들이 기회가 있으면 농촌을 떠나고 싶어 하는 것도 그만큼 힘들기 때문이다. 농민들의 한숨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일선 농가에서 겪고 있는 경영 위기는 이보다 더 심각하다. 코로나 여파로 인력 수급에 차질을 빚자 코로나 이전까지 7만원에 그쳤던 근로자 하루 인건비가 두 배 수준인 15만원대까지 뛰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통상 재배면적의 출하가격도 낮아져 소득 창출이 어려운 실정이다. 그나마 농사 이외의 소득이 늘면서 버티고 있다. 하지만 턱없이 부족하기는 마찬가지라는 게 농가들의 호소다. 농가의 본질적인 생산 및 수익은 어려움이 지속됐지만 정부 지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진 데 따른 수치적 반등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는 이유다.

2020년에 비해 지난해에는 통계상 소득이 올랐다고 하지만 실제 농가에서는 판매 부진에 따른 생산비 보전도 이뤄지지 않고 있어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이대로 가다가는 농업의 기반마저 붕괴될지 모른다. 과도한 부채는 농가를 벼랑 끝으로 내몰고 지역경제를 뒤흔드는 뇌관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농가들이 처한 현실과 농촌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할 것이다. 농민들을 위한 정책이 절실한 지금이다. 농촌이 없는 나라는 상상할 수 없다. 농촌의 기반이 든든해야 나라의 기반이 흔들리지 않는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