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道 응급의료 전국서 가장 열악, 대책 시급하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지역 거점 의료기관 역할을 맡고 있는 강원도 내 공공병원의 기능 강화가 시급하다. 전국 34개 거점 공공병원 중 삼척의료원과 강릉의료원의 병상 규모는 각각 전국 하위 3, 4위다. 가장 규모가 큰 원주의료원도 중하위권인 18위에 머물렀다. 조희숙 강원도공공보건의료지원단장이 최근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강원지역본부와 강원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가 주최한 ‘강원도 공공의료의 현실과 과제' 토론회에서 공개한 자료다. ‘의료취약지'를 중심으로 요양시설 부족도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해, 속초, 영월은 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동시에 요양시설도 부족한 지역으로 꼽혔으며 강릉, 속초에는 치매환자를 전담할 수 있는 장기요양기관이 없는 환경인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 나라살림연구소가 지난해 보건복지부의 ‘2020년 의료취약지 모니터링 연구', ‘2021년 예산설명서'를 토대로 전국 응급의료·분만·소아청소년과 취약지 현황, 예산 지원 실태를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도내 응급의료취약지는 18개 시·군 중 15곳(83.3%)으로 전국에서 가장 열악하다. 보건복지부 기준 의료취약지는 크게 ‘응급의료취약지', ‘분만취약지', ‘소아청소년과취약지', ‘인공신장실취약지' 등으로 나눈다. 이 중 응급의료취약지는 응급상황 발생 시 ‘지역응급의료센터'에 30분, ‘권역응급의료센터'에 1시간 안에 접근할 수 없는 인구비율이 27% 이상인 곳이다. 따라서 도민들의 생명과 안전이 그만큼 보호받지 못하는 곳이 많다는 의미다. 응급의료는 주민의 안전과 생명에 직결된다. 기본권 측면에서도 반드시 개선돼야 할 지역 현안이다.

2019년 기준 강원도의 치료가능 사망률은 46.73명으로 충북(46.95명)에 이어 전국 17개 시·도 중 2번째로 높았다. 아파도 제시간에 전문의료진의 손길이 미치지 않는다면 정착하고 싶지 않다. 이런 현실에서는 노인만 늘어나는 인구 구조의 변화를 기대할 수 없다. 강원도 내 대부분 지역이 저출산·고령화로 인구 소멸지역으로 지목되는 것 역시 의료시설의 빈약함과 무관하지 않다.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취약지역 보건의료서비스를 확대하고 의료기관 접근성을 강화해야 한다. 또 응급의료 거점병원을 확충해 위급한 환자들에 대한 돌봄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 지역의 의료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는 상황에서 지역 균형발전이나 보건복지는 어불성설이다. 의료복지가 지역의 최대 과제가 된 지 오래다. 지역 공공의료 확대를 위한 새 정부의 과감한 결단을 기대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