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도 전략산업 지역 소득 창출에 역점 둬야 한다

도가 향후 5년간 집중 육성할 전략산업 분야가 확정돼 주목된다. 생명·건강 융·복합산업이다. 2018년까지 이 분야에서 9조2,000억 원을 창출하는 생산력을 갖춘다는 의지다. 종사자 수 5만2,554명, 사업체 수 6,588개 달성이 목표라고 밝혔다. 수치만으로도 시선을 끄는 일이다.

도의 미래가 걸린 주력산업을 정한 것이다. 선도산업이자 성장동력이다. 따라서 산업 여건과 기반시설, 시스템 등을 착실하게 추진해 나가야 할 사안이다. 정부와 업계, 지역의 시책이 조화를 이뤄야 하는 것은 상식이다. 이 점에서도 기대할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달 29일 제2차 지역경제위원회를 열어 전국 시·도별 대표산업 발전계획을 확정한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국비를 집중 지원하는 지역별 주력산업으로 도내 지역은 웰니스(웰빙+행복+건강)식품산업이 지정됐다. 도의 청정 자연환경과 발전 가능성을 현실화하는 것이어서 고무적이다.

도내 지역의 웰니스산업 여건은 충분하다. 전 세계 194개국이 참여하고 있는 '제12차 유엔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가 평창 알펜시아를 중심으로 열리고 있다. 2018평창동계올림픽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이에 비춰 보면 타 지역에 비해 경쟁력이 우월한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문제는 사업장 주변 지역의 콘텐츠 접목, 주민 사업과의 연계다. 지역에 실질 소득이 주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도는 세라믹 신소재와 스포츠 지식서비스산업 등이 주력산업이라고 밝혔다. 여기에 영세·중소기업 육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룬다는 방침이다. 당연한 협업 구조다. 외지 사업자에게 지역사회가 종속되는 결과가 나타나면 곤란하다. 지자체와 관계 기관은 물론이고 지역의 업계가 두루 참여하는 산학연 협력 시스템부터 구축해 놓고 추진해야 한다. 이런 구조라야 지속 가능한 웰니스산업 생태계가 조성된다는 점을 거듭 강조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