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도농상생프로젝트]“3개 마을 3색 특화에 지역 발전 해답”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평창 거슬갑산권역

◇강원일보와 도가 주최하고 농도상생포럼이 주관하는 제108회 농촌사랑 농도상생프로젝트가 지난달 15일 평창읍 대하리 그린투어체험관에서 열렸다.

대하리-산채·김치 대상리-음악·문화 마지리-경관·관광

마을별 추진 후 통합전략 필요 … 주민 협력해야 시너지효과

강원일보와 도가 주최하고 농도상생포럼이 주관하는 제108회 농촌사랑 농도상생프로젝트가 지난달 15일 평창읍 대하리 그린투어체험관에서 열렸다.

이날 농도상생포럼 회원과 주민들이 참석해 대하리, 대상리, 마지1리를 포함하는 거슬갑산권역의 현실을 진단하고 차별화된 마을을 가꾸기 위한 처방을 놓고 열띤 토론을 이어갔다.

구진혁 ㈜누리넷 대표는 '거슬갑산권역의 창조적 마을 만들기'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여타 마을의 경우 사업 선정이 된 후권역의 마을들 간에 서로 주판을 튀기는 등 처음의 생각과 다르게 바뀌는 사례가 있다며 우리 권역만큼은 한마음 한뜻으로 끝까지 함께하자고 당부했다.

대하리의 경우는 산채와 김치의 특화, 대상리는 음악과 문화의 특화, 마지리는 경관과 관광을 특화하는 방안으로 계획했으며 각 마을들이 다른 색깔을 띠지만 이들이 통합돼야 전체적인 조화와 발전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권역의 비전은 '낭만과 여유로움이 물드는 거슬갑산권역'으로 수확과 문화와 건강의 중심 등 3가지 색깔을 마을별로 추진하고 통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했다. 마지리는 건강관리실, 거슬치 옛길 복원, 권역 대표 상징길, 마을회관 앞 공간 마련 등을 추진할 것이며 대하리는 배추와 산채와 콩 등 농산물의 복합가공을 통한 소득증대와 경관형성, 이야기가 있는 안내판, 평창강 전망대, 경관수목으로 돌배나무 식재, 거슬갑산 공원 등을 설치하고 대상리는 중심공간으로서 문화공간으로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방도혁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산업과 사무관은 '농업·농촌의 6차산업화 추진방안'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6차산업은 현정부 농정의 최대 핵심과제라며 장관이 이론을 정립하고 적극 추진하는 농촌활성화 대책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6월3일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일명 6차산업법이 제정돼 시행령과 시행규칙을 제정해 내년 6월4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6차산업이란 농촌에 존재하는 모든 유·무형의 자원을 바탕으로 농업과 식품, 특산품 가공(2차산업) 및 유통판매, 문화체험 관광서비스(3차산업) 등을 연계함으로써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이라고 개념을 정리했다.

이때 6차산업의 필수요소는 농업인 등 농촌지역 주민이 주도해야 하며 지역의 부존자원을 활용하고 창출된 부가가치 및 일자리가 농업·농촌으로 내부화돼야 하며 지역자본으로 형성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6차산업화는 농업생산(1차)의 대체가 아닌 보완적인 개념이라고 규정하고 6차산업화의 기대효과는 농업의 부가가치 및 농가소득 증대와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및 농촌활력 증진이라고 했다.

김기업 한국농어촌공사 철원지사 부장은 '거슬갑산권역의 창조혁신을 통한 도약'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대하리는 2007년과 2008년 두 차례 농도상생포럼을 개최, 산채축제 등을 모니터링하고 자문해 성공적인 마을사업의 대표마을로 자립하도록 했으며 대상리는 2011년에 포럼을 개최해 주민의식 향상 등을 통해 결국 올해 새농어촌건설운동 우수마을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고 축하했다.

이제는 마을단위가 아니라 권역단위의 사업을 하는 만큼 권역의 주민들로 생각을 바꿔서 시대에 맞는 마인드와 태도로 사업에 임해야만 성공적인 권역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남들이 보지 못하는 시장요구를 볼 수 있어야 하고 남들에 앞서 기회를 포착해야 하며 차별화된 가치로 시장을 선도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선견(先見), 선점(先占), 선도(先導)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것은 혼자서는 할 수 없는 것으로 모든 지역주민이 협력해 함께할 때 시너지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라고 했다.

특히, 주민들이 서로 소통하고 관계기관과 전문가들과도 소통하는 노력을 통해 이들 외부의 자원들을 내부자원으로 내재화할 때 비로소 지역의 문제가 해결되고 미션이 완성되는 선순환 과정인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이 이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평창=정익기기자igjung@kwnews.co.kr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피플 & 피플

    이코노미 플러스